728x90
반응형

 

 

조선 후기의 승려로 전남 무안출신인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는
우리나라 다도를 정립한 분으로 다성(茶聖)이라 부릅니다.
속명은 장의순(張意恂)이며, 법호는 초의(艸衣),
당호는 일지암(一枝庵)입니다.
15세에 출가하여 19세에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22세 때부터 전국의 선지식을 찾아가
삼장(三藏)을 배워서 통달하였습니다.
다산 정약용(1762∼1836), 소치 허련(1809∼1892),
그리고 평생의 친구 추사 김정희(1786∼1856) 등과
폭넓은 교유를 가졌는데,
특히 추사와 함께 다산초당을 찾아 유배생활 하는
24연배의 정약용을 스승처럼 섬기면서 유학의 경서를 읽고
실학정신을 계승하였으며 시부(詩賦)를 익히기도 하였습니다.

초의의 사상은 선(禪)사상과 다선일미(茶禪一味)사상으로 집약되는데,
다선일미 사상은 차(茶) 안에 부처의 진리(法)와
명상(禪)의 기쁨이 다 녹아있다는 것입니다.

명성이 널리 알려지자 대흥사의 동쪽 계곡으로 들어가
일지암을 짓고 40여 년 동안 홀로 불이선(不二禪)의
오묘한 진리를 찾아 정진하였으며
다선삼매(茶禪三昧)에 들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의 다경이라 불리는 『동다송(東茶頌)』을 지어
우리의 차를 예찬하고 다도의 멋을 전하였으며
 범패와 원예 및 서예뿐만 아니라, 장 담그는 법,
화초 기르는 법, 단방약 등에도 능하였습니다.

전남 해남 소재 두륜산 대흥사 경내에는
초의선사의 기념물이 둘 있습니다.
하나는 표충사 입구의 초의선사 동상이고,
다른 하나는 초의가 약 40연간 머물렀던 암자 일지암입니다.

 대흥사 일주문

▲ 초의대선사 동상

초의선사의 동상에는 그의 발자취가 새겨져 있지만
사진으로는 글씨를 읽을 수가 없군요.

동상은 차(茶) 한잔을 앞에 두고 가부좌를 튼 채
지팡이를 짚고 있는 노년기의 모습인데
다성(茶聖)인 선사의 형상을 잘 표현한 듯 합니다.

 

 


 

▲ 초의선사가 40여 년 간 머물렀던 일지암

대흥사 경내를 지나 만일재로 오르는 길목의 
오른쪽에 위치한 일지암은 초의선사가 39세였던 1824년에 지어
40여 년 간 기거한 한국 차 문화 중흥의 상징인 곳입니다.

초의 선사는 추사 김정희, 다산 정약용 등 당대의 명사,
시인, 예인들과 폭넓게 교류하면서 이곳에서 다서(茶書)의 고전인
『동다송』을 저술하고 『다신전』을 정리했습니다.

하지만 초의선사 입적 후 일지암은 화재로 소실되었고,
현재의 일지암은 1970년대에 복원된 것입니다.
차를 마시는 다실과 물맛 좋기로 소문난 유천(乳泉)이 있는데,
 차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성지와 같은 곳입니다.

글쓴이는 두륜봉으로 오르다가 스쳐 지나갔기에
일지암을 속속들이 둘러보지는 못한 채
그냥 겉모습인 암자의 외관만 사진에 담았습니다.
(2013. 11. 12)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