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북 부안군 상서면 소재 개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로 서기 634년(백제 무왕 35년) 묘련(妙蓮)이 창건한 천년고찰입니다. 개암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282년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난을 피하여 이곳에 도성을 쌓을 때, 우(禹)와 진(陳)의 두 장군으로 하여금 좌우 계곡에 왕궁전각을 짓게 하였는데, 동쪽을 묘암(妙巖), 서쪽을 개암이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신라 문무왕 16년(676) 원효와 의상이 이곳에 이르러 우금암(禹金巖) 밑의 굴속에 머물면서 중수하였으며 1276년(고려 충렬왕 2년) 원감국사(圓鑑國師)는 조계산 송광사에서 이곳 원효방(元曉房:우금굴)으로 와서 지금의 자리에 절을 중창해 대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그 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지만 수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이 이릅니다. 현존하는 당우(堂宇)로는 대웅보전(구 황금전)을 비롯하여 인등전·응향각·응진전·일주문과 월성대 및 요사가 있습니다.

 

주차장 인근에 일주문이 있는데, 양쪽 기둥에는 용을 새겨 아마도 전국 사찰의 일주문 중 가장 화려한 듯 보여집니다. 그런데 일주문에는 <우금산 개암사>가 아니라 <능가산 개암사>라는 현판이 붙어 있습니다. 개암사가 자리하고 있는 뒷산의 이름이 우금산이며, 여기서 한참 떨어진 내소사에도 <능가산 내소사>라는 현판이 붙어 있기에 그렇다면 내변산의 다른 이름은 능가산일까요? 원래 능가산은 불교용어로 "인도의 남해안에 있는 산 이름. 또는 현재의 스리랑카에 있는 아담스 피크 산을 가리킨다고 하며, 산 정상에는 부처의 족적(足跡)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고려의 원감국사는 개암사 황금전(黃金殿, 현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청련각(靑蓮閣), 남쪽에는 청허루(淸虛樓), 북쪽에는 팔상전(八相殿), 서쪽에는 응진당과 명부전을 지었으며, 총 30여 동의 건물을 세워『능가경(楞伽經)』(대승불교의 철학강론)을 강의하면서 많은 사람을 교화하였으므로 개암사 뒷산의 이름을 "능가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능가산 개암사 일주문

 

 

 

 화려한 용의 조각

 

 

 

일주문을 뒤로하고 안으로 진입하여 불이교(不二橋)를 건넙니다. 불이교는 너와 나 그리고 속세 등 상대적 차별을 떠나 평등과 화합을 실천하는 불교적 세계로 들어선다는 의미를 가지는 다리입니다. 불이교 옆에는 차밭이 넓게 펼쳐져 있군요. 불이교를 지나자마자 보이는 개암사의 가람과 뒤로 보이는 우금바위(울금바위)의 멋진 조화에 감탄이 저절로 나옵니다.

 불이교

 

 차밭

 

 개암사와 우금바위

 

 

 

 


축대를 오르면 한 가운데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서있는 전각과 우금바위의 모습이 한 폭의 그림입니다. 경내 우측 범종각 옆에는 정중당(淨衆堂)이, 좌측에는 종무소인 안심요(安心寮)와 월성대(越聖臺)가 있습니다. 안심요 옆에는 장독대가 놓여 있고, 월성대에는 능가산 개암사 현판이 붙어 있습니다.

 

 

 범종각

 

 월성대의 현판

 

 월성대

 

 안심요

 

 

 

 

 

위쪽으로 오르면 우측에 응진전이 있는데 이곳에는 보물 제1269호인 <개암사영산회괘불탱 및 초본>이 있습니다. 괘불이란 야외에서 큰 법회나 불교행사를 할 때 걸어두는 그림을 말하는데, 보물인 괘불탱은 높이가 13.25m, 폭이 9.19m로 매우 거대합니다. 그렇지만 응진전 안에서 이 괘불탱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실제로 보이는 것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인 <개암사 응진전 16나한상>입니다. 16나한상은 부처님의 제자 중 설법을 지키기로 맹세한 16명을 말합니다. 중앙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로 16나한상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개암사에는 원본의 크기와 동일한 괘불의 초본(草本)이 전하는데, 이런 규모의 초본은 남아 있는 경우가 거의 없어 개암사 괘불의 가치는 더욱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응진전

 

 

 

 

 

 석가모니불

 

 16나한상

 

 

 

 

응진전 맞은편에는 지장전이 있는데, 이곳에는 고려시대의 석불좌상이 있습니다. 청림리 석불좌상이라고 불리는 이 석상은 고려시대에 만든 지장보살상입니다.

 

 

 

 

 

 

 

 

 

 

 

개암사 대웅보전(보물 제292호)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서 대표적인 조선 중기 건물입니다. 임진왜란의 전란 속에서도 유일하게 불타지 않은 건축물(구 황금전)로 1960년 해체 복원하였습니다. 내부의 용머리 조각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대웅보전의 현판글씨는 추사 김정희의 라이벌이었던 이광사가 쓴 것입니다. 이광사(1705-1777)는 원교체를 완성하고 동국진체를 이룩한 조선시대 대표적인 서예가입니다.   

 

 


 

 

 

 

 

 내부의 용머리 조각

 

 

 

 

 

 

 

대웅보전 우측은 관음전, 좌측은 산신각인데 산신각 안에는 일반적인 사찰에서 볼 수 있는  산신도 대신 석조산신상이 조각되어 있는 게 매우 이색적입니다.

 

 

 관음전 내부

 

 

 

 산신각 내부의 산신상

 

 

 

개암사에서 700m 거리에 울금바위(우금암)가 있으며 베틀굴, 원효굴 및 원효방(출입금지구역)이 있어 등산과 답사를 겸할 수 있습니다.(2015. 1. 18)  

 

 

                                                       ☞ 글이 마음에 들면 아래 공감하트(♥)를 눌러 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