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복궁(景福宮)은 조선 왕조 5대 궁궐의 하나로 가장 으뜸인 법궁(法宮, 정궁)입니다. 1395년(태조 4년)에 창건하였습니다. "경복(景福)"이라는 말은 시경에 나오는 말로 왕과 그 자손, 온 백성들이 태평성대의 큰복을 누리기를 축원한다는 의미입니다. 풍수지리적으로도 백악산(북악산)을 뒤로하고 좌우에는 낙산과 인왕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길지의 요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으로 인해 불탄 이후 그 임무를 창덕궁에 넘겨주었다가 1865년(고종 2년)에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중건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 총독부 건물을 짓는 등 많은 전각들이 훼손되었으나, 1990년대부터 총독부 건물을 철거한 후 복원사업을 벌인 덕분에 복원작업은 현재 부분 완료된 상태입니다. 근정전, 경회루, 향원정, 아미산 굴뚝 등은 훼손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직사각형에 가까운 대지 주위를 담장으로 둘러싸고 동문인 건춘문(建春門), 서문인 영추문(迎秋門), 남문인 광화문(光化門), 북문인 신무문(神武門) 등 4개의 문을 만들었습니다.


 

 

대왕대비의 처소인 자경전(慈慶殿, 보물 809호)은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 동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왕이 세상을 떠나면 교태전에 있던 왕비는 대비로 높여져
정침인 교태전을 새로 중전이 된 왕비에게 물려주게 되는데,
이때 대비가 교태전에서 옮겨와 주로 머물던 곳이 자경전입니다.

 

"자경(慈慶)"이란 왕이 어머니와 할머니 등 왕실의 안어른께

경사가 있기를 바란다는 뜻입니다.

 

 

 

자경전은 강녕전 및 교태전과 함께 내전(內殿)을 구성하는 전각입니다.
사극을 보면 후계구도가 어지러울 때
대왕대비는 단순히 뒷방 늙은이가 아니라
다음 보위를 이를 세자를 결정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더군요.   

 

드라마 <화정>에서 인목대비 역을 맡은 배우 신은정   

 

 

 

 

자경전은 현존하는 침전 가운데 옛 모습을 간직한 유일한 건물로,
이 전각은 조대비를 위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고종 2년(1865년)에 지은 뒤 불에 탄 것을
고종 25년(1888년)에 재건한 것입니다.

 

 

 

 

전면 마당 동ㆍ남ㆍ서쪽에는 각각 동행각, 남행각,
서행각이 일곽을 이루며 마당을 둘러싸고 있는데,
자경전 뜰 앞 왼쪽에는 돌짐승 조각상이 있고,
오른쪽에는 배롱나무가 한 그루 있습니다.

 

 

 

 

 

 

 

 

 

 

 

 

 

자경전의 담장은 벽돌로 모양을 내어 꾸몄는데
대왕대비 조씨를 위해 지었던 건물인 만큼
만(卍), 수(壽), 복(福), 강(康), 녕(寧) 등의 글자들과
소나무, 국화, 거북의 등, 연꽃, 대나무, 모란 등의
대왕대비의 수복강녕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는 문양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경전에서 본 국립민속박물관 

 

 
예를 들어 만(卍)의 경우 글자의 모양을 계속 그려나가면
끝이 없으므로 영원하다는 의미를 지니고,
거북 등 그림의 경우 장수하는 동물 중 하나가 거북이므로
역시 대왕대비의 장수를 기원하는 것입니다.

 

 

 

 

 

 

 

자경전 후정 담의 중앙부에는
자경전 십장생(十長生) 굴뚝(보물제810호)이 있는데,
이 굴뚝은 담보다 한단 앞으로 나와
장대석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전돌로 쌓았습니다.

 

 

 십장생도

 

 

 

이곳에는 어른들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고
한 무리의 어린이들만 모여 있었는데
아마도 학교의 선생님이 자경전의 십장생 굴뚝을
꼭 관찰해 오라고 숙제를 내준 듯 했습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아래 공감하트(♥)를 눌러 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