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김포 덕포진의 가포대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소재 덕포진(사적 제292호)은 강화해협을 통해 한성(서울)으로 진입하려는 외세의 침공을 방어하기 위하여 돈대(墩臺)와 포대(砲臺) 및 파수청(把守廳)을 세웠던 조선시대의 진영입니다. 처음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666년(조선 현종 7년) 강화에 예속된 진이었으며, 1679년(조선 숙종 5년) 강화의 광성보(廣城堡)·덕진진(德津鎭)·용두돈대(龍頭墩臺)와 함께 축성되었습니다.

 

돈대의 위치는 한성으로 통하는 바닷길의 전략요충지로서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함대, 신미양요 때는 미국함대와 싸웠던 격전지입니다. 돈대터에서는 1874년(고종 11년)에 만들어진 포와 포탄 등이 발굴되었습니다. 이곳은 바다를 사이에 두고 강화도의 광성보와 맞서 있는데, 시야가 막힌 데다가 해협이 매우 좁고 물살이 빠르며 소용돌이치므로 적을 방어하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중요한 구실을 하였습니다.

 

덕포진을 알리는 아취형 문을 통과하면 넓은 주차장인데 좌측으로 들어가면 덕포진 전시관이 있습니다. 전시관 내에는 덕포진 포대전시상황 및 포대모형 등을 일목요연하게 잘 전시해 두고 있습니다.

덕포진 정문 입구

 

 덕포진 전시관

 

 

 

 

 

 

 

 

전시관을 나와 위쪽으로 오르면 야외학습장이 있는데 이곳에는 많은 주민들이 찾아와 야유회를 즐기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주변 파고라와 포대가 있는 넓은 잔디밭 쉼터에는 사람들이 텐트를 치거나 침상에서 무더위를 피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과거에는 격전지였지만 지금은 시민들의 휴식처가 된 수목원처럼 느껴지는 평온한 장소입니다.

 야외학습장

 

 

 

 

 

 

 

드디어 포대입구로 왔습니다. 덕포진 포대는 총 15포대가 발견되었는데 가포대는 7개포대, 나포대는 5개포대, 다포대는 3개포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포대와 나포대는 강화 초지진과 남장포대를, 다포대는 남장포대를 향하고 있습니다. <가포대>에서는 중포 2문이 발견되었습니다.

 

 

 

 

 가포대

 

 

 

 

 

 

 

포대 앞 해안에는 북한의 침입에 대비한 해상철조망이 설치된 가운데 가포대 앞 공터는 공원을 방불케 합니다. 익살스런 조형물 특히 사람의 하반신으로 만든 의자가 눈길을 끄는군요. 인근에는 장미터널도 있습니다.

 

 

 

 

 

 

 

 

덕포진 안으로 김포의 둘레길인 평화누리길(염하강 철책길 순환코스)이 조성되어 있음을 알리는 안내문이 보이네요. 여기서 대명항과 문수산성 남문까지 걸을 수 있다니 기회가 되면 한번 도전해 봐야 하겠습니다. 여기서 조금 더 가면 5개포대로 구상된 <나포대>입니다. 여기서는 소포 2문과 중포 1문이 발견되었습니다. 포대 안쪽에는 논입니다. 전국적으로 이상 가뭄이 계속되고 있지만 이곳은 한강하류지역이어서 그런지 가뭄걱정은 없는 듯 합니다.

 

 강화해협 맞은편으로 보이는 강화도

 

 

 

 

 

 나포대를 지나가는 둘레길 답사객

 

 

 

 

 

 

 

 

 

나포대를 지나면 3개 포대로 이루어진 <다포대>입니다. 이곳은 중포 1문이 발견된 곳인데 현재 긴급보수공사가 한창이네요. 그런데 앞의 두 곳 포대와는 달리 이곳의 포대는 초가지붕 대신 기와지붕입니다. 원래 기와지붕인지 아니면 초가지붕을 기와지붕으로 개량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군요. 사실 동일한 시기에 축조한 포대가 초가지붕과 기와지붕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만일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초가지붕을 기와지붕으로 개량한다면 역사적인 가치를 훼손하는 것일 테지요. 필자의 걱정이 기우(杞憂)이길 바랍니다.

 

 

 

 

 

 

 

 

 

 

다포대를 지나면 파수정터입니다. 이곳은 포를 쏠 때 필요한 불씨를 보관하는 동시에 포병을 지휘한 장소입니다. 1980년 발굴조사 당시 7개의 포탄과 상평통보(常平通寶) 2개가 출토되었고, 건물터에서는 주춧돌과 화덕자리가 발견되었는데, 건물규모는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추정되며, 둘레에 맞담을 쌓듯이 둘러친 석벽이 있었습니다.

 

 

 

 

 

 

 

 

파수정 터를 지나면 손돌의 무덤입니다. 손돌은 손돌목의 이름을 낳게 한 주인공인데요. 손돌목은 인천(강화)앞 바다에서 마포나루까지 올라갈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길목으로 김포와 강화사이의 좁은 해협을 말합니다. 따라서 밀물 때 이곳을 흐르는 해류가 급류를 이루어 배가 건너다니기 매우 어렵습니다. 손돌에 관한 전설을 살펴볼까요?

 

 

 손돌묘에서 바라본 파수정 터

 

 

 
몽고의 침입으로 개경을 떠난 고려 고종 일행은 사공인 손돌의 배를 타고 임진강과 한강하류를 거쳐 강화도로 가게 되었는데 김포에서 강화를 향해 바다를 건널 때 손돌이 배를 급류쪽으로 몰아 위험을 느낀 왕이 손돌의 행동을 의심하여 그를 참수하라고 명하자 손돌은 죽기 전 자기가 죽은 후 바다에 바가지를 띄워 그 바가지가 가는 대로 배를 몰면 안전할 것이라고 진언했습니다. 왕은 손돌을 죽인 뒤 그의 말대로 했더니 배가 무사히 바다를 건너게 되어 왕이 크게 뉘우쳐 손돌의 무덤을 만들고 크게 제사를 지내주었다고 합니다. 무능한 왕이 유능한 뱃사공을 죽이고 말았군요. 이후 이곳의 이름을 손돌목, 그가 죽은 10월 하순 매서운 추위와 바람을 손돌풍이라고 합니다. 

 덕포진 전시관의 손돌 이야기

 

 

 
필자는 덕포진을 답사하기 전까지 병인양요 및 신미양요의 격전지는 강화 초지진과 남장포대 뿐인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이곳 덕포진도 그 당시의 격전지였더군요. 현재 김포 덕포진은 아까 말한 대로 수목원 같은 쉼터인 동시에 우리의 역사를 배우는 현장이기도 합니다. 손돌의 이야기에서 무능한 왕의 전횡도 알게 되었습니다. 나라를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피난 가는 왕이 뱃사공을 의심해 그를 죽이다니 기가 막힙니다. 왕(오늘 날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국가의 안보임을 다시금 실감합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아래 공감하트(♥)를 눌러 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