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애여래입상과 산령각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 북한산 삼천사계곡에 자리잡은
전통문화재사찰 삼천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총본산인 조계사의 말사로
신라 문무왕 1년(661년) 원효(元曉)가 창건한 천년고찰입니다.
한때는 3,000여 명의 승려가 수도할 정도로 번창했다고 하며,
사찰이름도 이 숫자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 발발 시 승병들의 집합소로 활용되었으나
이후 불에 타 없어졌답니다.
1950년 6·25전쟁 때 불에 탄 것을 1960-1978년 중수했으며,
1988년 미얀마에서 부처님 사리 3과를 얻어와 석종탑을 세워 모시고 있습니다.
삼천사계곡 안으로 들어서면 "삼각산 적멸보궁 삼천사"라는 표석이 세워져 있지요.
삼천사 계곡은 북한산 의상능선과 응봉능선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며
비봉능선으로 오르는 길목이기도 합니다.
사찰경내로 진입하면 바라보면 의상능선이 잘 보입니다.
정문에는 삼천사와 마애여래입상을 소개하는 안내문이 있군요.
좌측에 보이는 의상능선
안으로 들어서면 두 개의 석탑이 있습니다.
이 중 안쪽의 9층석탑은 세존 진신사리붙탑입니다.
세존은 석가모니를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이곳에는 진신사리 7과와 금강경 법신사리600과를 봉안하였다고 합니다.
이 석탑은 오대산 월정사 8각9층탑을 모방해 만들었습니다.
두 개의 석탑
세존 진신사리붙탑
우측에는 연찬전이라는 전각이 있는데
안으로 들어서니 매우 어수선해서 그 용도를 잘 모르겠습니다.
북한산(비봉능선)으로 오르는 길목이라 반듯한 이정표가 보입니다.
용도를 알 수 없는 연찬전
삼각산 삼천사 현판이 붙은 문은 천왕문입니다.
그런데 천왕문 안쪽 계단 양쪽에 거대한 돌로 만든 용의 조각이 있군요.
필자가 7년 전 방문했을 때는 없었던 작품입니다.
우측 높은 곳에는 범종각과 법고가 있고 그 옆에는 지장보살입상이 있습니다.
지장보살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부름으로 미륵불이 출현하기까지의
무불(無佛)시대에 중생을 관찰하고,
고통받는 육도(六道) 중생을 제도하려는 큰 서원을 세운 분입니다.
범종과 법고
지장보살입상
사찰의 중심전각인 대웅보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내부에 석가모니불과 문수보살, 보현보살의 삼존불이 모셔져 있습니다.
뒤로 들어가면 적멸보궁과
형통무량불전(亨通無量佛殿)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습니다.
이 현판은 정주상의 초서체 글씨로 알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좌측에 석종탑이 있고 그 뒤로 마애여래입상(보물 제657호)이 보입니다.
이 입상은 통일신라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양각과 음각을 섞어 조각한 독특한 작품으로서,
전체 높이는 3m이고, 불상 높이는 2.6m에 달합니다.
또 석종탑(종형사리탑)은 미얀마에서 가져온 부처님 사리를 모신 탑입니다.
그런데 하나의 사찰에 세존 진신사리붙탑과 석종탑이라는
두 개의 탑에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것도 특이하고,
부처님의 사리가 있음에도 대웅보전에 불상을 그대로 둔 것도
불교에 문외한인 필자로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형통무량불전
석종탑
마애여래입상
그런데 마애여래입상과 그 옆의 산령각은
삼천사를 대표하는 장소가 되었습니다.
이는 펜화가로 유명한 김영택 화백이
이 장면을 펜화로 그렸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마애여래입상과 산령각
김영택 화백의 펜화(자료 : 중앙일보)
산령각 아래층은 나한전이며 맞은 편 언덕에는 천태각입니다.
나한전에는 오백나한을 모시고 있는데 오백나한은 중생에게 복덕을 주고
소원을 성취시키는데 독특한 능력이 있다고 합니다.
천태각은 중앙에 나반존자를 모셨고,
협시불로 좌우에 16나한을 봉안하였으며,
108개의 인등이 모셔진 전각입니다.
다만 닫혀 있어 내부를 보지는 못했습니다.
나한전
나한전 내부
천태각
이제 산령각을 한번 볼까요? 산령각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전통 건축양식인 맞배지붕으로
중앙에는 산신과 호랑이를 그린 산신탱화를 봉안하였는데
산신은 산의 영(靈)으로 산을 지키며 산 속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장하는 신으로 산신령(山神靈)이라고도 합니다.
산의 주인으로서 늘 가람의 뒤쪽에 자리하여
불법을 수호(守護)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곳의 산령각은 한국에서 가장 큰 규모로
삼각산의 산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음을 볼 수 있으며,
이런 이유에서 삼천사를 "산신이 보좌를 튼 절"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아래 공감하트(♥)를 눌러 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사찰.성당.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서울현충원 영령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호국지장사 (13) | 2019.01.08 |
---|---|
인기가요 "추억의 백마강"에 등장하는 부여 부소산 고란사 (13) | 2019.01.03 |
보물인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보유한 천년고찰, 부여 성흥산 대조사 (13) | 2018.12.13 |
서울에서 가장 조망이 좋은 사찰, 흑석동 서달산 달마사 (15) | 2018.11.15 |
2점의 보물을 간직한 천년고찰, 서울 삼각산(북한산) 승가사 (9) | 2018.11.06 |
예로부터 기도처로 이름난 북한산 문수봉 문수사 (9) | 2018.10.03 |
한때는 안동지역의 대가람이었다는 아기산 봉황사 (15) | 2018.09.18 |
한국 최초의 서양식 성당건물인 서울 중림동 약현성당 (19) | 2018.08.27 |
한국에 둘 뿐인 비잔티움 양식의 성당,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20) | 2018.08.22 |
지리산에서 가장 고즈넉한 암자로 서산대사 출가지인 하동 원통암 (19) | 2018.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