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울 성북구 성북동 소재 우리옛돌박물관은 국내 최초의 석조유물

전문박물관으로서 수복강녕과 길상을 기원하는 박물관입니다.

 

우리옛돌박물관의 전신은 경기도 용인에서 개관(2000년)한

세중옛돌박물관입니다. 2015년 문을 연 현 박물관의

부지면적은 5,500평 규모로 실내전시관과 야외전시관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실내전시관도 연면적 1,000평에 달할 정도입니다.

 

이곳에는 석조유물 1,250점, 자수 280여점,

근현대회화 100여점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 박물관에는 일본으로부터 환수한 문화재를 비롯해

문인석, 장군석, 동자석, 벅수, 석탑, 불상 등

다양한 돌조각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환수유물관의 문인석

 

 

 동자관

 

 

 벅수관

 

 

 

 

우리 민족의 숨결과 삶의 애환을 담긴 돌조각의 예술적 가치를

조명하는 우리옛돌박물관은 석조유물 뿐만 아니라

규방문화의 결정체인 전통 자수작품 및 한국을 대표하는

근현대작가의 회화작품도 함께 전시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명실상부한 종합예술의 공간입니다.

 

실내전시관은 환수유물관(1층), 동자관과 벅수관 및 자수관(2층),

기획전시관(3층)이 있고 야외에는 문인석.무인석, 장명등, 불상, 부도,

장승석, 제주도의 돌 등 돌에 관련한 갖가지의 작품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실내전시관 3층의 기획전시관을 둘러보겠습니다.

기획전시관은 근현대작가의 회화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사실 옛돌박물관과는 잘 아울리지 않은 전시분야입니다.

 

이와 관련 박물관 측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해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열린 박물관을 지향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전시의 주제는 “추상.구상.사이”인데요.

주제의 설명도 상당히 어렵습니다.

현지에 게시된 설명문을 그대로 옮겨 적습니다.

 

『돌조각이 될만한 돌도 처음엔 ‘돌’이다.

한 정씩 다듬어진 돌은 ‘추상’에서 ‘구상’이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돌조각은 사람들의 간절한 마음을 담는 ‘심상’이 된다.

 

수천 년 사람의 마음을 담은 돌조각은 비바람에

다시 ‘구상’에서 ‘추상’으로 그리고 ‘돌’이 된다.

 

이번 전시에서 그림 속에 한 획 한 획 내밀하게 숨겨져 있는

‘추상’과 ‘구상’사이에서 ‘심상’을 찾아보았으면 한다.

돌도 그림도 ‘심상’이 만들어낸 ‘형상’이며 ‘형상’속에 담겨진 ‘심상’이다.』

 

 

 

 

지금부터 전시작품 20여점을 하나 살펴보겠습니다.

 

 박유아 작 철인-짧은 인생을 영원 조국에(2013)

 

 

 권옥연 작 절규(1957)

 

 

 권옥연 작 무제(달밤)(1999)

 

 

 오치균 작 감(2012)

 

 

 이대원 작 농원(1999)

 

 

 이숙자 작 푸른보리밭(2000)

 

 

 이숙자 작 보리가 익어갈 때(2000)

 

 

 오세열 작 무제(1977)

 

 

 유영국 작 작품1(1980)

 

 

 이응노 작 군상(1984)

 

 

 권용래 작 프롬 라이트 투 라이트(from light to light)(2008)

 

 

 김태호 작 내재율(2013)

 

 

 한만영 작 시간의 복제(2011)

 

 

 오수환 작 적막(2003)

 

 

정광영 작 집합 97-41(1997)

''

 

 윤명로 작 얼레짓 84-523(1984)

 

 

 김창열 작 회귀(2007)

 

 

 류경채 작 날87-4

 

 

 남 관 작 푸른공간(1985)

 

 

 권용래 작 레드 인 라이트(2011)

 

 

 변승훈 작 신목 만다라(2009)

 

 

 

 

이들 작품 중 감이나 푸른 보리밭 같은 작품은 풍경화처럼 보여

필자처럼 현대미술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지만

다른 작품은 상당히 난해해 보입니다.

 

이 중에서도 압권은 현대미술의 거장이라는 이우환 화백의 작품입니다.

이우환 화백의 동풍(1984년 작)이 서울옥션 홍콩경매에서

무려 20억 7천만원에 낙찰되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었습니다.

여기에 전시된 “조응”이라는 작품도 정말 상상을 초월합니다.

 이우환 작 조응(correspondence)(2000)

 

 

 

 

우리옛돌박물관 홈페이지를 보면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이렇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여백이 아름다운 이유는 그것이 비어 있기 때문이 아니라,

사물과 공간이 강렬한 에너지로 반응하면서

서로에게 응답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3층 베란다에도 옛돌이 전시되어 있는데

문인석, 하마비, 관솔대(불을 밝히는 석조물)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관솔대

 

 

 

 

 

 

 

☞ 글이 마음에 들면 아래 공감하트(♥)를 눌러 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