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울 성북구 성북동 소재 우리옛돌박물관은 국내 최초의 석조유물

전문박물관으로서 수복강녕과 길상을 기원하는 박물관입니다.

 

우리옛돌박물관의 전신은 경기도 용인에서 개관(2000년)한

세중옛돌박물관입니다. 2015년 문을 연 현 박물관의

부지면적은 5,500평 규모로 실내전시관과 야외전시장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실내전시관도 연면적 1,000평에 달할 정도입니다.

 

이곳에는 석조유물 1,250점, 자수 280여점,

근현대회화 100여점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 박물관에는 일본으로부터 환수한 문화재를 비롯해

문인석, 장군석, 동자석, 벅수, 석탑, 불상 등

다양한 돌조각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우리 민족의 숨결과 삶의 애환을 담긴 돌조각의 예술적 가치를

조명하는 우리옛돌박물관은 석조유물 뿐만 아니라

규방문화의 결정체인 전통 자수작품 및 한국을 대표하는

근현대작가의 회화작품도 함께 전시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명실상부한 종합예술의 공간입니다.

 환수유물관의 문인석

 

 

 동자관

 

 

 벅수관

 

 

 자수관

 

 

 기획전시관

 

 

 

 

이번에는 야외전시장을 답사할 차례입니다.

야외에는 문인석, 무인석, 장명등, 불상, 부도, 장승석,

제주도의 돌 등 돌에 관련한 갖가지의 작품을 볼 수 있습니다.

 

야외전시장으로 가는 방법은 두 가지 선택이 있는데요.

정문에서 바로 직진하는 방법과 1층에서 3층까지 실내전시장을

차례로 둘러본 후 옥상을 거쳐 박물관 뒤편의 언덕으로 가는 방법이 있는데

박물관 관계자는 실내전시관부터 먼저 관람한 후 야외로 나가라고

권유해 필자는 이를 따랐습니다.

 매표소 입구의 옛돌

 

 

 

 

3층 관람을 마치고 옥상으로 가는 길목에도 옛돌들을

가지런하게 전시해 두어 돌 전문박물관임을 실감합니다.

옥상으로 오르니 서울시가지가 내려다보입니다.

 

 

 

 

 

 

야외전시장은 오감만족/제주도 푸른 밤, 무인시대, 33인의 동자,

마음의 정화, 염화미소, 네 가지 소원, 승승장구의 길,

문인의 길 등 다양한 주제로 옛돌을 배치해 놓고 있습니다.

 

야외전시장으로 이어지는 길목에는

온화한 미소의 인물상이 있는데 이의 용도는 잘 모르겠습니다.

 용도를 알 수 없는 인물상

 

 

 

 

제일 먼저 만나는 곳은 “제주도 푸른 밤”인데요.

이곳은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온 제주도의 돌조각이 전시된 공간으로

제주정낭, 돌하르방 등 제주도의 독특한 석조물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제주정낭

 

 

 

 

“오감만족”의 공간은 박물관에서 가장 높은 장소로

서울이 다 내려다보이는 탁 트인 곳에서

돌조각들을 손으로 만져볼 수 있게 조성된 공간입니다.

 

 

 

 

 

 

 

“무인시대” 장군석은 능묘를 수호하기 위한 석인상으로

주로 왕릉이나 사대부 묘에 배치되었으며,

중국의 영향을 받아 능묘제도가 정비된 통일신라부터 왕릉에 나타납니다.

 

장군석은 갑옷을 입고 장군의 상징인 칼을 소지한 채

근엄하고 당당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염화미소”는 "꽃을 들고 미소를 띠다"라는 의미로

말을 하지 않아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여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석가가 연꽃을 들어 대중들에게 보이자 모인 사람들 중

오직 가섭이라는 제자만이 그 참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고

석가는 가섭에게 불교의 진리를 설법했습니다.

 

 

 

 

 

 

“33명의 동자” 중 33이라는 숫자는 불교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모든 곳에 있는 모든 사람 즉 우주를 나타냅니다.

일제강점기 민족대표 33인도 온 국민을 대표합니다.

 

 

 

 

 

 

지금으로부터 1300년 전 통일신라시대에도

수세식 화장실이 있었음은 정말 놀라운 사실입니다.

 통일신라시대 수세식 판석

 

 

 

 

 

아래쪽 박물관 입구로 나가는 길목에는 불상,

석탑, 장군석 등이 다수 놓여져 있습니다.

 

 

 

 

 

 

 

 

 

 

“탄생불”(誕生佛)은 석가모니가 태어날 때의 모습으로

오른손은 위로 들고 왼손은 아래로 내리고 있는 불상입니다.

 

 

 

 

박물관에서 야외전시장으로 가는 길목의 “문인의 길”은

문인석이 배치되어 있는 곳입니다.

 

문인석은 무덤을 수호하기 위해 봉분 앞에 한 쌍식 세워

장군석 및 석수와 함께 능묘를 수호하는 조각물입니다.

 

공무복차림의 문관의 형상으로 문인석은 당시의 조각양식을 보여주고

우리나라 능묘제도의 변천을 알게 해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아래 공감하트(♥)를 눌러 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