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늦은목이재에서 봉화방면 하산길에 만난 침엽수림

 

 

 

 

 

 

영남의 진산이라 불리는 소백산(1,440m)자락을 한 바퀴 감아 도는 소백산 자락길은 경북 영주시 및 봉화군, 충북 단양군, 강원도 영월군의 3도 4개시·군에 걸쳐져 있는 143km의 도보길(12개 자락)로 2009년-2012기간 중 개통했습니다. 이 길은 2011년 “한국관광의 별”로 선정된 곳이기도 합니다.

 

소백산 자락길은 국립공원 구역이 많아 원시상태가 잘 보존되어 숲의 터널에서 삶의 허기를 치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돌돌 구르는 시냇물과 동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백산은 불교문화 유적의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에 속해 있어 부석사를 비롯해 성혈사, 초암사, 비로사, 희방사, 구인사 등 불교유적지를 탐방할 수 있습니다.

 

 

 

 

 

9자락길은 영주시 남대리 주막거리에서 출발해 늦은목이재를 거쳐 봉화군 물야저수지에 이르는 7.2km의 도보길입니다. 이 길은 보부상의 애환이 서린 곳입니다. 보부상은 비싼 상품을 취급하는 봇짐장수와 비교적 싼 상품을 취급하는 등짐장수가 합쳐진 말입니다. 이 길은 옛보부상들이 울진장, 홍해장, 죽변장에서 소금 및 생선 등 해산물을 사들여 봉화.영주.안동 등에서 팔고 다시 내륙지방의 생산품을 해안장터로 팔기 위해 행상을 나갈 때 넘나들던 길입니다.

 

 

 

 

 

9자락의 들머리는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 주막거리입니다. 그런데 주막거리에는 공사로 인해 9코스 진입로가 막혀 있어 우회해야합니다. 현재 이곳에는 단산-부석사간 10.45km 도로건설공사 중인데, 이는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와 부석면 소재지를 직접 연결하는 주간선도로로 그동안 산악지역의 고갯길과 노폭협소, 급경사, 급커브로 인해 차량통행이 원활하지 못했으며, 특히 마구령은 해발고도가 820m에 이르고, 경사가 심해 겨울철 눈이 오면 상습적으로 통행이 두절돼 도로이용자들의 불편이 많아 지역민들의 민원이 많았던 곳입니다.

9코스 들머리 출입금지

 

 

 

 

 

 

그간 영주 쪽에서는 남대리로 버스 통행이 가능한 도로가 없어 버스가 운행되지 못해 작은 승용차들만 좁은 구절양장의 마구령을 점점이 아슬아슬하게 넘고 있습니다. 또한 단양에서 들어오는 마을버스는 행정구역을 넘을 수 없어 자기네 구역인 의풍까지 밖에 운행하지 않아 남대리 사람들은 그냥 걸어서 산을 넘든가 화물차를 겨우 얻어 타는 형편이었다고 합니다. 좌측 아래쪽 공사중인 교각 아래를 통과해 우측으로 가면 터널입구가 보입니다. 이 공사가 계획대로 추진되어 주민들의 교통불편이 해소되기를 기원합니다.

 

 

 

 

 

 

 

 

 

9자락길은 터널입구 좌측으로 이어집니다. 침엽수림지대를 지나면 빙판이네요. 모진 겨울의 혹한으로 인해 물이 흐르는 곳은 거의 대부분 빙판으로 변해 넘어지기라도 하면 낭패를 당할 것입니다. 데크를 지나가는 길목에는 군데군데 명시(名詩)들을 목판에 새겨 놓았군요. 경남 밀양 소재 “만어사 너덜에서”를 노래한 시도 보입니다. 늦은목이재를 2.5km 남겨 놓은 시점부터 길은 점점 오르막으로 변합니다. 작은 계곡을 건너는 곳에는 통나무로 다리를 만들어 놓았는데 외나무다리는 없고 세 개의 나무로 만들어 안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늦은목이재를 800m 앞둔 지점에 발원지 0.4km 이정표가 있는데 이곳은 바로 영남에 있는 유일한 한강발원지입니다. 물론 선달산 아래에도 한강발원지라고 하지만 두 개의 물길 모두 결국 남한강으로 합류하기에 탓할 일은 아니겠지요. 그렇지만 편도 400m를 오른 후 되돌아오기에는 체력이 부족해 그냥 늦은목이재로 갑니다. 나중에 이곳을 다녀온 이의 전언에 의하면 실제 거리는 400m가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한강발원지 갈림길

 

 

 

 

 

 

두 차례의 나무다리를 건너 힘주어 오르니 드디어 늦은목이재(786m, 단 771m라는 표기도 있음)입니다. 늦은목이재는 늦은맥이재, 느지미재 등으로 불렸는데 경사가 느슨한 재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이곳에서 좌측인 북쪽으로 1.9km를 가면 선달산(1,236m), 우측인 남쪽으로는 1km를 걸으며 마구령을 넘어가면 갈곶산(966m)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이처럼 남북으로 이어진 백두대간 산줄기는 영주시 부석면과 봉화군 물야면의 경계를 이루기도 합니다. 특히 늦은목이재에서 서북쪽으로 흐르는 물줄기는 한강으로 합류하고, 남동쪽으로 흐르는 물은 낙동강으로 합류해 한강과 낙동강을 가르는 분수령이기도 한 매우 중요한 고갯마루입니다.

 

 

늦은목이재 이정표

 

 

 

 

 

 

 

 

 

 

필자는 지난해 7월 외씨버선길 11코스(마루금길)를 답사하면서 오늘의 목적지인 봉화 물야저수지 생달마을에서 출발해 이곳 늦은목이재를 거쳐 선달산으로 오른 기억이 생생합니다. 고갯마루에서 봉화방향으로 몇 걸음 내려서면 늦은목 옹달샘이 있는데 바로 낙동강 발원지입니다. 늦은목이재 옹달샘에서 발원한 내성천(乃城川)은 봉화군과 영주시 및 예천군을 지나 문경시 영순면에서 낙동강과 합류하는 길이가 109.5㎞에 달하는 낙동강 지류로 경북 북부지역의 젖줄입니다.

봉화 쪽으로 내려가는 계단

 

늦은목 옹달샘(내성천 및 낙동강 발원지)

 

 

 

 

 

 

 

이제 늦은목이재를 내려올 차례입니다. 등산보다는 하산은 상당히 쉬운 편이라 발걸음이 빨라집니다. 길목에는 울창한 침엽수림이 하늘을 찌를 듯 솟아있군요. 징검다리를 건너 도로로 나오니 외씨버선길 안내문이 잘 세워져 있네요. 여기서 좌측으로 약 100여 미터 지점에 있는 상운사로 갑니다. 상운사는 현지에도 안내문이 없고 인터넷 검색에도 나오지 않아 누가 언제 세웠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사찰입구에 현판도 없고 신축한 전각에는 현판도 없더군요.

뒤돌아본 계단길

 

 

 

 

상운사

 

 

 

 

 

 

도로를 이용해 봉화군 물야면 오정리 생달마을로 하산합니다. 길목의 민박집은 봄철에는 경치가 매우 좋을 것 같습니다. 도로를 걸으려니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촉감은 딱딱하지만 내리막이어서 힘들지는 않습니다. 줄기가 붉은 색인 나무가 무리지어 자라고 있는 모습이 정말 황홀한데 아마도 흰말채나무일 것입니다. 흰말채나무는 여름에 흰 꽃과 흰 열매를 맺기에 지어진 이름이라는군요. 뒤돌아보니 선달산 능선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뒤돌아본 도로

 

흰말채나무

 

뒤돌아본 선달산 능선

 

 

 

 

 

 

생달마을은 선달산(先達山)에서 흘러내리는 하천이 마을을 가로질러 흘러가는데 굽이쳐 흘러내리는 형세가 마치 둥글게 두 개의 달과 같은 형상이라고 하여 쌍달이라고 부르던 것이 변천하여 생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곳에는 반듯한 건축물이 몇 동 보이는데 건설회사가 입주한 곳도 있어 매우 이채롭습니다.

 

호연정

 

어느 건설회사

 

 

 

 

물야저수지

 

 

 

 

 

 

 

 

9자락 7.4km를 걷는데 2시간 40분이 걸렸습니다. 남대리 주막거리에서 늦은백이재를 넘는 오르막으로 인해 속도를 낼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늦은맥이재는 한강과 낙동강의 최초발원지로서 영주시와 봉화군의 경계임을 이번에 확실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보부상들이 무거운 짐을 진 채 이 고개를 넘었다는 사실이 믿어지지가 않더군요.

 

 

《소백산 9자락 개요》

 

▲ 일자 : 2022년 3월 12일 (토)

▲ 코스 : 남대리 주막거리-항강발원지 갈림길-늦은목이재-생달마을(물야저수지)

▲ 거리 : 7.4km

▲ 시간 : 2시간 40분

▲ 안내 : 서울청마산악회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