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 종로구 송현동 소재 열린송현녹지광장은 경복궁과 서울공예박물관(구 풍문여고)사이에 있는 광장입니다. 이곳은 서울광장 면적의 3배에 달하는 송현동 부지(37,117㎡)를 쉼과 문화가 있는 녹지광장으로 조성해 2022년 7월 100여년 만에 처음으로 일반인에게 개방한 녹지공간입니다.

 

 

 

 

 

 

 

 

송현동 부지는 일제강점기 식산은행 사택, 해방 후 미군숙소, 미국 대사관 숙소 등으로 활용되다가 1997년 우리 정부에 반환돼 비로소 다시 돌아왔지만 이후 거의 폐허로 방치된 상태였으며 2008년 대한항공이 도심호텔을 건립하려고 매입했지만 무산되자 2021년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대한항공으로부터 송현동 일대를 매입한 후 서울시와 강남구 삼성동 옛 서울의료원 부지 일부와 맞교환해 서울시소유가 된 땅입니다. 이 부지의 일부는 2023년 1월 이건희 기념관 건립예정부지로 서울시에서 문화체육관광부로 이전되었습니다. 기념관이 건립되면 이 부지는 송현문화공원으로 탈바꿈됩니다.

생명의 나무

 

 

 

 

 

 

 

 

 

이곳은 높이 4m 담장에 둘러싸여 오랜 기간 닫혀있던 공간이었으나 근래 돌담을 낮추고 야생화로 어우러진 녹지로 천지개벽(天地開闢)되어 서울 도시건축비엔날레 등 각종 행사가 열립니다. 이번에는 조각도시서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역사의 터 예술로 깨어나다”라는 주제로 12명의 조각가가 참여하는 조각작품전(2025. 3. 21∼5. 19)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들 작품을 사진으로 소개합니다.

 

 

한진섭 작/하나되어(Become one)

 

 

 

김성복 작/사랑은 그리움을 남겼다

 

 

 

권치규 작/회복탄력성-대국(對局) (Resilience-harmony)

 

 

 

허태진 작/공존(COEXISTENCE)

 

 

 

이성옥 작/자연의 소리-빛의 노래(Sound of Nature-Song of Light)

 

 

 

이송준 작/인피니티 R180(Infinite-R180)

 

 

 

남산소나무 후계목

 

 

 

2023 도시건축비엔날레, 한옥파빌리온

 

 

 

 

델피늄

 

 

 

이종서 작/마음의 시각(Vision of Mind)

 

 

 

최승애 작/유영의 시간(Ascending through time)

 

 

 

장세일 작/스탠다드 애니멀-늑대(Standard Animal-Wolf)

 

 

 

 

 

 

 

백진기 작/더 이클립스(The Eclipse)

 

 

 

 

 

 

박헌열 작/대화 201(Conversation 201)

 

 

 

이웅배 작/공동체(Community)

 

 

 

 

 

 

 

 

 

송현광장 주변에는 인사동과 북촌, 경복궁과 창덕궁 및 창경궁, 최근 재개관한 종묘, 서울공예박물관, 서울교육박물관, 대한불교조계종 총본산인 조계사 등 명소가 모여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송현광장은 탁 트인 공간에서 예술작품을 감상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힐링의 명소입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