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세계 최초 모자 화폐인물 탄생지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소재 강릉 오죽헌(보물)은 조선 전기(15세기 중엽) 목조 건물로 단일 주거건축으로는 역사가 가장 오래된 고옥입니다. 오죽헌(烏竹軒)이라는 명칭은 뒤뜰에 검은 대나무가 자란 것을 계기로 붙었으며, 조선의 시인 겸 화가인 신사임당(1504-1551)의 친정집으로 이곳에서 조선의 유학자 겸 관료인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생가입니다.

 

오죽헌 안내도

 

 

 

 

 

이곳은 1975년 오죽헌 정화 사업으로 율곡의 영정을 모신 문성사를 비롯해 자경문, 율곡기념관 등을 신축하고 강릉시립박물관과 통합되어 1998년에 재개관하였으며 경내에는 강릉화폐전시관이 있습니다. 오죽헌 입구에는 “세계 최초 모자 화폐인물 탄생지”라는 조형물이 있어 방문객들은 기념사진을 촬영합니다.

오죽헌 입구

 

 

 

 

 

매표소

 

오죽헌 정문

 

 

 

 

출입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관리사무소가 있네요. 경내는 잘 조성된 공원 같은 분위기인데 우측에 율곡선생의 동상과 친필휘호가 새겨진 석판이 있습니다. 휘호는 견득사의(見得思義)로 “이득을 보거든 옳은 일인가를 생각하라”는 명언입니다. 그 안쪽에는 “신사임당 초충도 화단”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는 신사임당이 그린 초충도(草蟲圖)의 주요소재인 오이, 수박, 가지, 맨드라미, 양귀비, 봉선화, 원추리 등을 심어 화단을 조성했고, 식물들 주위로 벌, 나비, 잠자리, 여치, 방아깨비, 쇠똥구리 같은 날벌레와 길벌레가 모여들면 마치 한 폭의 초충도를 보는 것처럼 조성한 것입니다.

오죽헌 관리사무소

 

공원 같은 오죽헌 경내

 

 

율곡선생의 동상과 친필휘호

 

 

견득사의

 

 

 

 

 

 

 

 

바로 이웃에는 SBS 수목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2017년 상반기 방영) 주연배우인 이영애와 송승헌의 손바닥 동판이 놓여 있습니다. 이는 조선시대 사임당 신씨의 삶을 재해석한 작품으로, 천재화가 사임당의 예술혼과 불멸의 사랑을 그린 드라마입니다. 이영애는 “아름다운 강릉, 영원하라”, 송승헌은 "역사의 고장 강릉에서 촬영 잘하고 가요"라는 메시지를 남겼군요.

 

배우 이영애와 손승헌의 손바닥동판

 

 

 

 

 

중앙광장으로 진입해 축대 위에 있는 자경문(自警門)을 들어섭니다. 자경문은 오죽헌의 안팎을 가르는 문입니다. 율곡은 어머니를 여인 후 금강산에 입산했다가 유학에 뜻을 품고 1년 만에 강릉외가로 돌아와 외할머니 앞에서 “스스로를 경계하는 글”이라는 의미의 자경문(自警文)을 지었는데 이 출입문은 여기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율곡의 자경문(11항목)은 입지(立志), 과언(寡言), 정심(正心), 근독(勤獨), 독서(讀書), 금욕(禁慾), 진성(盡誠), 정의(正義), 감화(感化), 수면(睡眠), 용공(用功)인데 이의 해석은 아래 안내문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자경문

 

 

자경문에서 뒤돌아본 중앙광장

 

 

 

 

 

자경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율곡선생유적 정화기념비가 있고 그 옆에 보물을 알리는 표석이 놓여 있습니다. 축대 위쪽 오죽헌 출입문으로 들어가면 오죽헌 중심건물인 율곡의 사당 문성사, 조선 초기 별당건물인 오죽헌(보물), 그 우측 율곡이 태어난 몽룡실이 있습니다.

 

율곡선생유적 정화기념비

 

 

보물 표석

 

오죽헌 출입문

 

 

 

 

문성사(文成祠)는 율곡 이이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1975년 오죽헌 정화사업 때 새로 지은 것입니다. 문성(文成)은 1624년 인조임금이 율곡에게 내린 시호(諡號)로 “도덕과 학문을 널리 들어 막힘이 없이 통했으며, 백성의 안정된 삶을 위하여 정사의 근본을 세웠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말입니다.

 

 

율곡의 영정

 

 

 

 

 

 

문성사 앞에는 오죽헌과 몽룡실이 있습니다. 오죽헌은 조선 초기의 별당건물로 당시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는 대표적인 주택으로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이며, 왼쪽 마루방은 율곡이 6살까지 공부하던 곳이고, 우측 몽룡실(夢龍室)은 신사임당이 용이 문머리에 서려 있는 꿈을 꾸고 율곡을 낳은 방입니다.

오죽헌과 몽룡실

 

오죽헌

 

오죽헌 내부

 

몽룡실

 

몽룡실의 신사임당 영정

 

 

율곡의 공부방

 

 

 

 

 

 

문성사 앞에는 율곡송이 있는데 이는 율곡이 소나무를 보고 칭찬한 나무입니다. 율곡은 “유송당기”에서 이 소나무의 기이한 형상을 보니 천공의 오묘한 조화를 빼앗았다. 소나무가 사람을 즐겁게 하는데 어찌 사람이 즐길 줄 모르는가“라고 읊었답니다. 옆의 사임당 배롱나무는 수령이 600년이 지난 것으로 신사임당-율곡 모자가 키웠을 이 나무는 율곡송과 함께 오죽헌을 지키는 수호목입니다.

율곡송

 

 

사임당 배롱나무

 

 

 

 

 

 

오죽헌 좌측에 있는 율곡매는 세종 22년 경(1440) 이조참판을 지낸 최치원이 오죽헌을 건립하고 별당후원에 심은 나무로 신사임당과 율곡이 직접 가꾸었다고 전합니다. 사임당은 매화그림을 여럿 그렸고 맏딸의 이름도 매창(梅窓)이라고 지을 만큼 매화를 사랑한 인물입니다. 현지 문화해설사에 의하면 앞으로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전문가의 진단에 따라 현재는 보존처리 중입니다.

율곡매

 

 

 

 

 

 

오죽헌 뒤쪽에는 안채와 바깥채가 있는데 별도의 안내문은 없지만 안채에는 서예와 서화 그리고 사임당의 시와 율곡의 격몽요결 글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사임당의 “어머니를 그리며"는 사임당이 서울시댁에 있을 때 고향에 홀로 남은 친정어머니를 그리며 지은 시입니다.

 

안채출입문

 

 

바깥채

 

안채

 

 

 

 

 

 

 

 

 

 

 

 

 

오죽헌 안채 뒤로 들어가면 어제각(御製閣)이 있는데 이는 율곡의 저서 격몽요결과 어린 시절 사용하던 벼루를 보관하기 위해 지은 정자입니다. 1788년 조선 정조는 오죽헌에 율곡이 사용하던 벼루와 격몽요결이 보관되어 있음을 알고는 가져오게 해 벼루 뒷면에 율곡의 위대함을 찬양하는 글을 지어 새기게 하고, 책에는 머리글을 지어 붙여 잘 보관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이에 어명을 받은 강원도 관찰사 김재찬이 이를 보관하기 위해 지은 정자가 어제각입니다.

어제각 출입문

 

 

 

 

 

 

 

 

 

 

안채출입문을 거쳐 바깥으로 나오면 넓은 뜰인데 여기서 꼭 봐야할 명소가 있습니다. 바로 5천원권지폐 뒷면에 그려진 오죽헌의 그림을 그대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촬영장소가 있는 곳입니다. 뜰에는 5천원권 지폐의 사진과 사진을 촬영하기 쉽게 발의 위치 모형이 설치되어 있더군요. 화폐의 그림과 현재의 모습은 담장의 배롱나무가 많이 자란 것을 제외하고는 정말 그 모습 그대로입니다. 이곳 오죽헌 경내에는 율곡기념관을 비롯해 강릉화폐전시관과 강릉시립박물관이 있어 이들은 각각 별도로 게재하겠습니다.

5천원권 지폐 그림 촬영포인트(좌측은 안채출입문, 우측은 오죽헌 출입문)

 

5천원권 뒷면의 오죽헌 그림

 

실제로 찍은 사진 (붉은 사각형 내는 화폐 그림)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