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념관 내 만해 스님 동상

 

 

 

 

 

 

서울 종로구 안국동 소재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은 재단법인 선학원이 설립한 불교문화기념관입니다. 선학원은 일제 식민지의 엄혹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불법의 정통인 선리를 탐구하고, 선풍을 선양하고, 불교중흥을 이루기 위해 만해선사를 비롯한 용성, 남천, 도봉, 석두, 만공, 성월스님 등 수좌스님들이 앞장서서 설립한 단체입니다. 선학원은 설립이후 서정희, 여운형, 신명균, 김법린등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거쳐 간 독립운동의 본산이 되어 민족해방에 기여를 했으며, 해방이후에는 불교정화와 개혁의 산실이 되어 오늘날 대한불교조계종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자료 : 불교저널(http://www.buddhismjournal.com)]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은 지금으로부터 백여 년 전 일제강점기부터 우리나라의 자주독립과 전통불교수호를 위해 헌신한 불교인들 특히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3.1독립선언서 공약삼장을 쓴 만해 한용운 스님 관련업적을 중점적으로 기록한 기념관입니다.

 

백여 년 전 우리 선각자들은 나라를 빼앗기고, 이에 항거한 3.1독립운동에서 수많은 민중들이 죽임을 당하고, 감옥에서 고문을 당하는 고초를 겪었으며, 또한 일제 식민통치를 앞세운 왜색불교가 조선불교의 정통성을 훼손하는 법난의 현장에서 고난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에 굴하지 않고 수좌스님들은 선학원을 설립하여 일제에 항거한 결과 민족의 독립을 맞이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나아가 불교정화와 개혁운동을 일으켜 한국불교의 정통성을 바로 세웠으며, 그 정신이 한국근대불교문화기념관으로 재탄생 한 것입니다. [자료/불교저널]

 

선학원(기념관) 입구의 벽면에는 한용운 스님관련 시와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더군요. 빛의 반사로 인해 시와 글을 사진 상으로 알아볼 수 없는 게 아쉽습니다. 안으로 들어서면 선학원이 만해 스님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다는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네요.

 

 

 

 

 

 

 

 

 

 

그 옆에는 한국근대불교의 연표, 관련서적(불교대전, 조선불교유신론 등), 선학원 발간 잡지, 만해 선생수첩, 경허스님집, 3.1운동 민족대표 판결문, 만해 스님 수형기록표, 대한독립선언서, 불교의 근대화와 독립운동, 정화불교의 태동, 만해 스님 공훈록(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과 훈장 실물), 만해 저서(님의 침묵 등) 등 주옥같은 자료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대한독립선언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 추서)

 

 

 

 

 

 

 

 

 

 

 

 

 

 

 

기념관 정면 중앙에는 만해 한용운 스님의 동상이 세워져 있습니다. 만해 한용운(1879-1944)은 충남 홍성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불교계에 혁신적인 사상을 전하고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던 승려이자 시인, 독립운동가입니다. 본관은 청주, 자는 정옥, 법명은 용운, 법호는 만해이며 유년시절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으나, 1905년 백담사에서 득도한 뒤 수년간 불교활동에 전념했다고 합니다. 1918년 불교잡지 <유심>을 창간하고 계몽적 성격의 글을 발표했으며,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한 후 일제에 체포되어 3년형을 받았습니다. 1925년에는 한국 근대시사의 불후의 업적 <님의 침묵>을 펴내어 민족의 현실과 이상을 시적 이미지로 형상화했으며, 이후 조선총독부와 마주보기 싫다며 북향으로 지은 성북동 집에서 66세의 나이로 별세한 인물입니다.(자료/다음백과)

 

 

 

 

 

 

사실 필자는 불교신자도 아닌 일반인으로서 이런 기념관이 있는지 전혀 몰랐습니다. 우연히 안국동을 산책하다가 선학원과 불교문화기념관을 만났습니다. 그럼에도 한국불교가 독립운동을 위해 기여한 사실을 자세하게 알게 된 것은 큰 수확입니다. 기념관 관람은 09:30~18:00이며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정상개관),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승용차 이용 시 자체 주차장은 없으므로 인근 공용주차장을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