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반도의 남한지역을 일주하는 코리아 둘레길은 동해안의 해파랑길, 남해안의 남파랑길, 서해안의 서해랑길, 그리고 휴전선의 DMZ 평화의 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DMZ 평화의 길>은 한반도의 마지막 청정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DMZ 일대를 따라 구축한 총 35개 코스, 510km의 걷기여행길입니다. DMZ 초입인 민간인통제선 인근에 자리한 최전방 마을, 전적지, 평야와 강, 산악 지형을 지나며 한반도 중부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고, 평화와 통일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길입니다. DMZ 평화의 길은 자유롭게 방문 가능한 횡단노선과 투어 예약 후 방문 가능한 테마노선으로 나뉘며, 일부 민통선지역 코스는 우회로를 두어 용이하게 답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DMZ 평화의 길 파주 10코스는 리비교 거점센터에서 출발해 황포돛대를 거쳐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소재 신장남교에 이르는 9.6km의 도보길로 한적한 시골길을 따라 자연경관을 감상하며 걷는 길이며 파주에서 연천으로 넘어가는 코스입니다.

파주 10코스의 출발지는 파주시 파평면 장파리 소재 리비교 동단입니다. 리비교는 임진강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교량으로 보수보강 공사를 거쳐 2023년 11월 재개통한 다리입니다. 리비교는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이 정전협정 체결 직전 건설한 다리(1953. 7. 4)로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인근 임진강에 위치하고 있으며, 리비교라는 이름은 한국전쟁 초기인 1950년 대전지구 전투에서 전사해 사후 훈장을 받은 미군 조지 리비 중사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습니다.

리비교 동단의 리비사거리 코너에 10코스 출발점을 알리는 평화의 길 안내문(QR인증코드 포함)이 있습니다. 횡단보도를 건너면 가로변에 장마루 매운탕촌과 장마루를 알리는 조형물이 보입니다. 좌측으로 돌아 37번국도(율곡로)의 굴다리(암거)를 통과해 우측으로 돌아 장마루카페에서 북상합니다. 도로변에는 목적지인 장남교(두지리)를 알리는 이정표가 잘 세워져 있어 길을 헷갈릴 이유는 없습니다. 남은 거리는 9.6km로군요.










들녘에는 파밭(?)을 손질하는 농부들의 모습이 참으로 평화로워 보여 이곳이 민통선 인근지역임을 잊게 하네요. 우측 사잇길로 빠져 장좌리로 접어들어 농로를 따라 작은 고갯마루를 넘어갑니다. (주)태봉과 좌측의 공동묘지를 뒤로하고 평화의 길 쉼터에서 잠시 숨을 고른 후 비닐하우스가 많은 곳을 통과하면 자장리마을회관입니다.









반듯한 한옥과 중북부지방에서 보기 드문 태양광 집열패널을 뒤로하고 농로를 걸어가면 37번국도(율곡로)변의 나무테크로 이어집니다. 국도 좌측의 작은 고개를 넘으면 자전거쉼터(두지리쉼터)인데 직진해도 되지만 원래 길인 쉼터 쪽으로 가서 숲길로 진입하면 안전시설이 잘 된 길을 지나 평지로 나오게 되는데 바로 눈앞에 황포돛대가 나타납니다.









파주시 적성면 두지리 소재 황포돛배는 조선시대 주요 운송수단이었던 황포돛배를 되살린 것입니다. 황포돛배는 주로 바다와 강의 물길을 이용해 여러 생필품을 실어 나르던 황토로 물들인 돛을 단 배를 말하며, 얕은 강물에 운항하기 위해 바닥이 수평인 목선입니다. 파주 임진강 황포돛배는 조선시대부터 6.25 한국전쟁 전까지 사공과 선원 3~10명이 노를 저어 운항하였으며, 지금은 옛 모습 그대로 복원한 황포돛배에 250마력 엔진을 얹어 선장의 역사해설과 함께 40분 동안 유람선으로 운항합니다.



선착장인 두지나루에는 운항중인 황포돛배가 출항한 이후여서 황포돛배의 실물을 볼 수 없어 매우 아쉬웠는데 나중에 신장남교를 건너며 보니 배가 귀항에 있어 이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황포돛배를 타면 60만 년 전 화산폭발로 만들어진 두 곳의 주상절리(원당리 적벽, 자장리 적벽)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황포돛배를 뒤로하고 발걸음을 옮기면 길은 나무데크길을 거쳐 임진강변으로 이어집니다. 여기서 뒤돌아보니 출항했던 황포돛배가 귀항하는군요.





임진강 체험마을(빌딩) 옆에 신장남교를 오르는 나무데크가 있어 이곳을 오르면 신장남교 좌측 인도로 이어집니다. 높은 교량의 인도를 걸으니 대형차량이 지나갈 땐 매우 큰 소음과 강풍으로 인해 무서움이 들 정도입니다. 조금 전 두지나루 선착장으로 접근하던 황포돛배는 선착장에 접안해 다음 승객을 태우고 있더군요.




신장남교를 건너면 파주에서 연천지역(장남면)으로 넘어온 것입니다. 신장남교 아래 좌측에는 캠핑브릿지가 있는데 상당히 넓은 장소에 많은 텐트가 보입니다. 뒤돌아보면 신장남교 뒤로 파주의 명산인 감악산(675m)이 우뚝하군요. 도로 건너편에는 연천 장남교 구석기유적을 알리는 안내문이 세워져 있어 임진강변의 평탄한 구릉지에 구석기 유적이 발견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천의 명소인 재인폭포 홍보사진도 보이는군요.





신장남교는 파주시 적성면 두지리와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를 잇는 긴 교량으로 임진강에 건설된 다리 중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는 교량입니다. 임진각 자유의 다리와 오늘 지나왔던 리비교는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있어 자유로운 통행이 안 되거든요. 남과 북이 휴전협정으로 군사분계선을 만들고 이를 중심으로 2km씩 물러나 비무장지대가 조성되었습니다. 다시 남방한계선 바깥으로 민간인 출입통제선이라는 보이지 않은 선이 그어졌는데 그 경계가 바로 임진강이었습니다.

장남면 원당리마을은 1945년 광복 이후 일부지역이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치하에 놓이게 되었고 6.25한국 전쟁 후 원당리 전 지역이 군사분계선과 인접한 민간인 통제구역에 속해 있다가 1962년부터 민간인 입주가 허용되어 지금의 마을이 형성된 곳입니다.

신장남교를 건너 조금 더 가면 좌측 도로변에 평화누리길과 경기둘레길 관련 여러 정보가 어지러울 지경입니다. 그런데 11코스를 알리는 QR인증코드를 찾을 수가 없어 그냥 발걸음을 옮겼는데 잠시 후 두루누비 따라가기에서 코스를 이탈했다는 경고음이 울립니다. 각종 안내문이 있는 곳으로 되돌아와 요모조모 살펴보니 경기둘레길-평화누리길-평화의 길 대형지도 우측 아래에 11코스 방문인증 QR코드가 숨어(?)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공식이정표나 안내문에 QR인증코드가 있었기에 지도에 있을 줄은 몰랐던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367번지방도(술이홀로)를 따라 약 300여 미터를 더 가니 공중화장실이 있는 삼거리갈림길에 11코스 출발점을 알리는 안내문과 QR인증코드가 있습니다. 왜 이를 분리해 두 곳에 설치했는지 의문이로군요. 화장실 옆 쉼터에는 여기서 개성까지는 25km, 서울까지는 46km라는 이정표가 보이는데 사실 북한의 개성이 지척이지만 오가지 못하는 분단의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오늘 약 10km를 걷는데 2시간 30분이 소요되었습니다. 출발지에서 파주시의 농촌들녘을 걷는 길은 참으로 무미건조했지만 인진강 두지나루에서는 다음 기회에 꼭 다시 찾아와 황포돛배를 직접 타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고, 임진강을 가로지르는 신장남교를 건너며 연천 땅으로 들어왔음을 실감했습니다.
《DMZ 평화의 길 파주 10코스 개요》
▲ 일자 : 2025년 3월 15일 (토)
▲ 코스 : 리비교 동단(리비사거리)-자장리마을회관-두지나루 황포돛배-신장남교-신장남교 북서단(술이홀로)
▲ 거리 : 10.3km
▲ 시간 : 2시간 30분
▲ 안내 : 서울청마산악회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DMZ 평화의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Z 평화의 길 11코스-연천 학곡리 적석총과 숭의전 (5) | 2025.04.08 |
---|---|
DMZ 평화의 길 9코스-파주 파평면행정복지센터와 리비교 (9) | 2025.03.18 |
DMZ 평화의 길 8-1코스 파주 장산전망대와 화석정 (13) | 2025.03.05 |
DMZ 평화의 길 7코스-파주 반구정 경유 임진강역으로 (15) | 2025.03.04 |
DMZ 평화의 길 6코스-파주 프로방스마을과 문지리535카페 (15) | 2025.02.18 |
DMZ 평화의 길 5코스-파주출판도시와 살래길 (12) | 2025.02.04 |
DMZ 평화의 길 4코스-김포 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과 일산대교 (16) | 2025.01.21 |
DMZ 평화의 길 3코스 애기봉 입구-석탄리철새-전류리포구 (18) | 2025.01.06 |
DMZ 평화의 길 2코스-김포 문수산성 남문∼애기봉입구 (27) | 2024.12.24 |
DMZ 평화의 길 1코스-강화평화전망대∼김포 문수산성 남문 (32)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