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물원(구 과천 서울대공원)에 입장하면 제일 처음 만나게 되는 동물이 홍학이다. 홍학은 그 이름에서 붉은 색을 가진 동물이 연상되지만 흰색도 있다. 홍학은 그냥 자유롭게 쉬고 있는 모습도 아름답지만 사육사의 손짓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모습도 환상적이다.
평일 오후 세시만 되면 어김없이 홍학쇼가 펼쳐진다. 신나는 음악이 흘러나오고 사육사가 모습을 드러내면 그녀의 손짓에 따라 66마리의 홍학이 방향을 바꾸기도 하고, 두 무리 또는 네 무리로 나누어지기도 하며, 물 안으로 들어오기도 한다. 때로는 날개를 퍼덕이며 나는 흉내도 낸다.
원래 홍학은 날 수 있지만 사육을 위해 날지 못하도록 날개의 털을 자른다는 것이다. 사육사는 이게 동물 학대는 아니라고 말한다. 영구적으로 날지 못하게 하는 게 아니라 양 날개 특수부위의 길이를 다르게 해서 잠정적으로 날지 못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란다. 사실 이곳에 한번 사육되면 죽을 때까지 있으므로 영구히 날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리라.
전 세계적으로 홍학은 모두 6종류가 있는데, 이곳에는 큐바홍학, 칠레홍학, 유럽홍학, 꼬마홍학 등 4가지 종류의 홍학이 사육되고 있다고 한다. 홍학은 영어로 플라밍고로, 스페인의 정열적인 춤이 생각나는 이름이다. 어제 서울은 금년 여름 수은주가 가장 높은 34.3도 까지 치솟아 찜통더위가 이어졌다. 한 주를 새롭게 시작하는 월요일, 홍학이 펼치는 쇼를 보며 마지막 무더위를 슬기롭게 극복하자.
홍학(紅鶴)또는 플라밍고(flamingo)는 홍학목 새들의 총칭이다. 모두 홍학과에 속한다. 홍학은 대부분 키가 90-150㎝이다. 날개길이는 37-44cm, 꼬리는 15cm 정도이다. 목이 길고 주둥이는 중간쯤에서 급히 아래쪽으로 구부러졌고 발에 물갈퀴가 있다. 몸빛깔은 밝은 붉은 색에서 엷은 분홍색까지 다양하고, 날개 끝은 검은색이다.
물 속을 긴 다리로 오가며 대부분 물벼룩 같은 작은 동물과 개구리·새우 그리고 조류(藻類) 같은 수생식물을 먹는다. 부리의 가장자리에는 빗살 모양의 여과기가 있어 물 속에서 먹이를 찾을 때 진흙이나 모래를 거를 수 있다.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며, 수천 마리가 함께 모이기도 한다.
짝짓기는 1년에 한 번 하며, 둥지는 진흙을 쌓아 올려 만든다. 대부분의 암컷은 둥지 위의 오목한 곳에 한 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품은 지 약 30일 만에 부화하며, 알에서 나온 새끼는 약 5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나 작은 군집을 이룬다. 그러나 새끼는 둥지로 되돌아와서 어미의 소화계에서 만들어지는 액체 상태의 먹이를 받아먹는다. 약 2주가 지나면 새끼는 큰 군집을 이루고 스스로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자연 상태에서의 수명은 약 15-20년이고, 사육 상태에서는 더 오래 산다. 전 세계의 많은 곳에 분포하며, 일생 동안 호수·습지·바닷가에서 산다.
'동물.곤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긴 모습이 특이한 용흥사 고양이 (19) | 2010.05.09 |
---|---|
동물의 왕국이 된 노원구청 "호랑이 특별전" (14) | 2010.02.01 |
오징어의 특이한 신체구조, 머리가 중앙에 (33) | 2010.01.26 |
사진으로 보는 희귀한 곤충과 절지동물 (18) | 2009.10.16 |
혹서에 지쳐 축 늘어진 서울동물원의 짐승들 (34) | 2009.08.19 |
오로지 새우깡에 올인하는 허망한 갈매기의 꿈 (13) | 2009.08.03 |
무료로 보는 능동 어린이대공원 동물들 (36) | 2009.07.30 |
간현봉 계곡에서 만난 정겨운 두꺼비 (23) | 2009.07.14 |
눈 깜짝할 사이에 끝나는 토끼의 사랑행위 (26) | 2009.06.25 |
가정집에서 키우는 2억원짜리 관상어 "홍용" (24) | 200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