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한 창경궁 문정전

 

                                                                        사도세자가 잠든 화성 융릉 

 

 

 

▲ 사도세가가 뒤주에 갇혀 죽은 창경궁 문정전

 

조선왕조에서 가장 비운의 임금이
숙부인 수양대군(후일 세조)에 의해 쫓겨난 단종이라면
가장 비운의 왕세자는 아버지(영조)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도세자일 것입니다.

 

영조의 아들이자 정조의 생부인 사도세자(1735-1762)는
어려서부터 영특하고 서예와 무예에 뛰어 났지만
영조를 대신에 정무를 보게 되면서 노론과 마찰을 빚게 되었고
결국 뒤주에 갇혀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되었습니다.

 

영조는 28세에 죽은 세자를 슬퍼하며 사도(思悼)라는 시호를 내렸습니다.
아들 정조는 사도세자를 장헌으로,
1899년에는 장조(莊祖)로 추존하였습니다.

 

사도세자의 빈인 혜경궁 홍씨(1735-1815)는 재상 홍봉한의 딸로서
후일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헌경왕후가 되었습니다.
 혜경궁 홍씨가 남긴 자전적 회고록인 "한중록"은
궁중문학의 백미로 꼽히고 있습니다.

 

 

최근 이준익 감독의 영화 <사도>(주연/송강호, 유아인, 문근영, 전혜진)가
현재까지 62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했는데,
<베테랑>에서 급부상한 배우 유아인이 사도세자 역을 맡아
카리스마 넘치는 송강호에 조금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열연을 펼치고 있습니다.

 

 

 

 

 

 

창경궁을 방문하면 사도세사의 비극이 떠오릅니다.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한 곳은 정전인 명정전(明政殿)의
좌측에 위치한 문정전 앞입니다. 

 문정전

 

 문정전 내부

 

 어전회의 해설문

 

 

 

 

 

 

문정전은 임금이 신하들과 회의를 열고 의견을 나누던 편전으로
왕실의 신주를 모신 혼전(魂殿)으로도 자주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영화 <사도>에서 뒤주에 갇혀 목이 마르다며 물을 달라고 울부짖는 사도세사에게
군졸들이 뒤주 위의 때장(잔디)에 물을 주어
흐르는 물로 목을 축이는 장면은 정말 눈물겨웠습니다.  

 뒤주가 놓였을 문정전 앞마당

 

 

 


▲ 사도세사가 묻힌 화성 융릉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에 위치한 융건릉(세계문화유산)은 융릉과 건릉을 말합니다.
융릉(融陵)은 사도세자와 부인 혜경궁 홍씨의 능이고,
건릉(健陵)은 제22대 정조와 효의왕후의 능입니다.

 

 

 

 

 

 

융릉은 비록 후일 왕으로 추존된 사도세자 부부의 합장릉이지만
그 규모와 배치는 일반 왕릉과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정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영조는 사도세자의 아들입니다.
영조는 비명에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효성이 지극했다지요.   

 

 

 

 

 

 

 

<참고자료> 사도세자(1735-1762)
 
조선 제21대 영조의 둘째 아들. 이름은 선(?)이고 자는 윤관(允寬)이며 호는 의재(毅齋)이다. 어머니는 영빈 이씨이며 부인은 영의정 홍봉한의 딸인 혜경궁 홍씨이다. 이복형 효장 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2세 때 세자에 책봉되었다. 15세인 1749(영조 25)년부터 영조의 명을 받고 대리 기무(代理機務)를 보았다. 이때 당시 집권 세력이었던 노론과 반목하다가 1762(영조 38)년 김한구, 홍계희, 윤급 등에 의해 모함을 받아 영조에 의해 폐세자(廢世子)가 되었고 뒤주에 갇혀 8일만에 굶어 죽었다. 영조에 의해 사도(死悼)라는 시호가 내려졌고 그의 아들 정조가 1777(정조 1)년 장헌(莊獻)으로 상시(上諡)하였으며, 1899(광무 3)년 다시 장조(莊祖)로 추존되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아래 공감하트(♥)를 눌러 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