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무식한 글쓴이는 금강산 건봉사라는 사찰은 북한지역인 금강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번 고성8경 답사를 통해 건봉사는 우리지역인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에 소재하고 있으며 고성8경 중 제1경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금강산 건봉사로 부르는 이유는 금강산 줄기가 시작되는 건봉산 감로봉의 동남쪽 자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건봉사는 신라 법흥왕 7년(520) 아도화상이 창간한 천년고찰로서 일제 강점기에도 북부 강원도 지역을 대표하는 31본산의 하나로 설악산 신흥사와 백담사, 양양 낙산사 등을 말사로 거느린 전국 4대 사찰 중의 하나였지만 6.25동란(한국전쟁)으로 전소되면서 조계종에서는 제3교구 본사 신흥사의 말사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건봉사 개요]
 
신라시대 법흥왕 7년(서기 520년) 아도(阿道)가 창건하여 원각사(圓覺寺)라 이름하였다. 758년(경덕왕 17)에 발징(發徵)이 중건하고 염불만일회(念佛萬日會, 10,000일 동안 염불을 계속하는 모임)를 열었는데, 이것이 한국에서의 만일회의 시초이다.

그후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사찰을 중수(重修)하여 서봉사(西鳳寺)라 개칭하였는데 1358년(공민왕 7)에는 나옹(懶翁)이 사찰을 중수하고 다시 건봉사라고 개칭하였다. 1464년(세조 10)에는 어실각(御室閣)을 짓고 역대 임금의 원당(願堂)으로 삼았다. 임진왜란 때 왜구가 통도사에서 가져간 부처님 진신치아사리 12과를 임진왜란이 끝나고 사명대사가 일본에서 찾아와 건봉사에 봉안하였다.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승병을 일으킨 곳이기도 하며 구한말 개화사상과 신문화교육을 위해 봉명학원이 설립되어 운영되었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아군 5,8,9사단, 미군 10군단과 북한군 5개 사단이 이일대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이때 건봉산지역 전투로 사찰의 대부분이 폐허로 변했으나 1994년 이후 점차 복원되어 오늘에 이른다. 옛 절터와 대웅전, 불이문(강원 문화재자료 35), 9층탑을 비롯한 7기의 탑, 48기의 부도(浮屠), 31기의 비석이 있다.(자료/두산백과사전)



한국전쟁의 참화로 완전히 소실되었던 건봉사는 민간인출입 통제선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600칸이 넘었다는 건물은 모두 사라졌지만 화재로 잿더미만 남은 곳에 전각이 하나 둘씩 복원되고 있습니다.

바깥쪽 주차장 인근에 자리잡은 부도와 비석군을 보면 과연 건봉사가 얼마나 유구한 역사를 가진 대찰이었는지 짐작하게 됩니다. 한마디로 이들 부도와 비석이 숲을 이루고 있거든요.

 부도 및 비석군



안으로 들어오면 주차장입니다. 경내 출입문인 불이문은 한국전쟁당시 유일하게 불타지 않은 건물입니다. 불이문 옆에는 수령 500년의 보호수 팽나무가 오가는 길손들을 지켜보고 있네요.


 


 


 

                                                                           보호수 팽나무



개울 위에 걸려 있는 능파교는 사찰의 교량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보물(제1336호)로 지정된 문화재입니다. 왕궁의 교량 중에는 보물이 있지만 사찰에서는 이외로군요. 능파교를 건너면 돌기둥 두 개에 열 개의 도형이 음각되어 있는데 이를 십바라밀석주라고 하며,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중요한 교육용 문화재라고 합니다.

 능파교

 십바라밀석주



금강산 건봉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 건축물의 기둥은 자연 그대로의 나무를 사용한 점이 돋보입니다. 안쪽에는 대웅전, 만일염불원, 명부전 등 여러 전각이 보이지만 스님들의 수행처는 출입이 안됩니다.

 건봉사 현판 

                                                               자연 그대로의 나무기둥


 대웅전

 대웅전 내부

 만일염불원

 명부전

 명부전 내부


 

다시 능파교를 건너 우측으로 오르면 적멸보궁입니다. 적멸보궁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이지만 이곳에는 부처님의 치아사리를 모신 게 특이합니다. 그런데 이 치아사리는 사연이 많습니다. 신라 때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석가모니의 치아 사리는 본래 통도사에 있다가 임진왜란 중 일본이 강탈해 가져갔는데, 고승 사명대사가 일본에 건너가 돌려 받아 건봉사에 봉안하였다고 합니다. 사명대사의 능력이 정말 대단하군요. 실제로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가 건봉사에서 양성하였던 승병의 숫자가 6,000명이 넘었다고 하니 가히 그 규모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부도군 앞에는 사명대사의 동상이 있고, 주차장 옆에 사명당 승병기념관이 있습니다.

 적멸보궁

 적멸보궁 뒤 부도



적멸보궁 앞 의 외진 곳에 산신각이 있으며, 그 앞쪽으로 범종루가 있는 곳까지 드넓은 사찰의 터가 보여 건봉사가 전국 4대 사찰이었다는 말이 거짓이 아님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산신각

 산신각 내부

 드넓은 사찰터

 범종각


  
건봉사로 가는 길은 통제되었다가 1988년 작은 출입로가 열렸습니다. 글쓴이는 고성8경 중 제3경인 화진포에서 남하하여 건봉사로 들어갔는데 군부대 검문소를 두 번이나 통과해야 했습니다. 현재 도로공사가 한창이어서 일정구간은 비포장 도로를 달려야 합니다. 남쪽에서 북쪽의 건봉사로 진입하는 길목에도 검문소가 있는지의 여부는 모르겠습니다. 

지금까지 건봉사를 주마간산(走馬看山)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보물인 능파교와 십바라밀석주, 적멸보궁, 부도 및 비석군, 사명대사 동상에 대하여는 별도로 다시 소개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