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유정(金裕貞 1908-1937)은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한 소설가입니다.
춘천 MBC가 김유정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한 다큐멘터리에 의하면, 김유정은 민중들을 사랑하여,
명문집안의 자손인 자신보다 신분이 낮은
소작인들에게도 존댓말을 하였다고 합니다.
단편 소설 <소낙비>가 1935년《조선일보》에 당선되고,
《중앙일보》에는 <노다지>가 당선되어 문단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집안이 기울면서 공장일로 겨우 생계를 유지하는
누나에게 얹혀 살다가 1937년에 폐결핵으로 요절할 때까지
30여 편의 소설을 창작했는데,
주요작품으로는 <동백꽃> <봄봄> <산골 나그네>등이 있습니다.
(자료 : 다음백과)
이 김유정을 기리는 전철 역 이름이 생겨났습니다.
지난해 연말 개통된 경춘선 전철에 생긴
<김유정 역>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런데 이 역사는 매우 아담한 한옥입니다.
역사(驛舍)를 보는 순간 역의 이름과 매우
잘 어울린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역사 주변은 아직도 공사 중이어서 다소 어수선했지만
반듯한 전통한옥의 모습이 이 지역의 명물이 될 것입니다.
시간이 있을 경우 500m 거리에 위치한 <김유정 문학촌>을 답사하여
요절한 그를 만나는 일도 뜻깊은 추억이 되겠지요.
김유정 역 정문
반응형
'국내여행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보감의 저자를 만나는 허준 박물관 (18) | 2011.02.26 |
---|---|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겸재정선 기념관 (21) | 2011.02.24 |
헤이리마을에서 본 운보 김기창 화백 판화전 (1) | 2011.02.18 |
헤이리 문화예술마을 이색건축물 둘러보기 (45) | 2011.02.15 |
서울에 남아있는 유일한 향교인 양천향교 (28) | 2011.02.11 |
헤이리마을에서 만나는 재미있는 기념품 (36) | 2011.02.08 |
지하철 이용 등산객에 대한 2가지 오해 (77) | 2011.02.08 |
아프리카의 모든 것, 헤이리마을 아프리카관 (33) | 2011.02.07 |
꽃으로 표현한 헤이리마을 상징조형물 (45) | 2011.02.05 |
장난감박물관 같은 헤이리마을 북 카페 (22) | 2011.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