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글쓴이는 27년 전인 1984년 미국동부 펜실베이니아주의 어느 주립대학으로 석사과정을 공부하러 떠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현지에 도착하여 1개월도 안되어 한국과 비교했을 때 깜짝 놀란 세 가지가 있었는데 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서민용 주택에서도 24시간 온수가 공급되는 시스템입니다. 지금은 우리나라에서도 웬만한 아파트나 공동주택은 24시간 온수공급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그 당시 우리나라는 소위 고급주택만 이게 가능했고 보통주택은 주로 야간에만 온수공급을 했었는데 미국 현지에는 가장 저렴한 서민용 주택에서도 하루종일 온수가 나와 역시 경제대국은 다르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둘째, 대학생들의 공부열기와 도서관 측의 효율적인 도서관리입니다. 우리는 고등학생 때까지 죽도록 공부하다가 대학입시지옥을 거치고 나면 대학은 면학의 장소가 아니라 젊음을 발산하는 장소로 돌변합니다. 그런데 미국대학생들의 향학열은 정말 대단했습니다. 점심시간 식당이나 야외에서 햄버거 등을 먹으면서도 언제나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습니다. 물론 우리와는 다른 간편한 음식문화에 기인한 점도 있을 테지요. 주중 도서관은 항상 학생들로 만원입니다.

그러다가 금요일 오후만 되면 학생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 도서관은 그야말로 적막감이 감돕니다. 주말을 즐기려는 탓이지요. 영어로 금요일이 되면 TGIF(Thanks God It's Friday)라고 인사한다는 말을 실감했습니다. 이렇게 도서관이 텅 비어도 단지 소수의 도서관 이용자를 위해 문을 닫는 일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일요일 오후가 되면 다시 도서관은 학생들로 만원입니다. 학생들은 월요일 과제준비와 예습복습을 하려는 공부벌레로 변신하는 것이지요. 이들이 주말엔 확실하게 놀고 일요일 오후부터는 정말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이 무척 부러웠습니다.

또 학교도서관의 담당자들도 정말 부지런했습니다. 학생들이 서가에서 책을 보고 테이블 위에 그냥 올려놓고 가면 거의 반드시 5분 이내에 사서직원이 나타나 책을 제자리에 정리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컴퓨터의 컴자도 모르던 시절이지만 200만권이 넘는 보유장서에 대해 컴퓨터를 비치하여 오래된 자료를 마이크로 필름으로 제작해서 볼 수 있도록 해 두었습니다. 또 늘 쇼핑용 누런 종이봉투 2-3개에 자질구레한 물건을 담아서 학교와 도서관을 출입하는 거지가 있었지만 학교측에서는 이 거지 방문객을 전혀 제지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주립대학은 주정부가 운영하는 공공시설물이므로 주민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 거지도 학생들의 공부를 방해하거나 미풍양속에 해치는 행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셋째, 의사의 처방이 없어도 구입 가능한 약품의 슈퍼판매입니다. 동네 슈퍼마켓에 갔다가 의약품 코너가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약국에서만 구입할 수 있는 약품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미 미국에선 의약분업과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가 오래 전부터 현실화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 도(道) 넘은 집단이기주의 편에 선 한심한 국회 

그런데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의약분업은 이루어졌지만 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는 실현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글쓴이가 이 글을 쓰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솔직히 의약분업은 소비자로서는 불편한 제도입니다. 왜냐하면 병원진료 후 약을 구입하려면 병원이 아니라 별도로 약국을 찾아야 하거든요. 그렇지만 전국의 약사들은 선진국의 제도라며 쌍수를 들고 환영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약사들은 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에 대해서는 목숨을 걸고 반대합니다. 의약품 오남용(誤濫用)의 부작용이 매우 크다는 이유입니다. 매출이 감소하여 생계가 위태롭다고 하지는 않거든요. 이는 한마디로 국민들을 바보멍청이로 아는 안하무인격의 집단이기주의입니다. 국민을 이토록 바보로 생각했다면 의약분업 때 "의사의 처방전을 받은 환자가 약국을 찾지 못할 것"이라며 반대했어야 정상입니다.

                                                          자료 : 2011. 8. 26 중앙일보에서 인용


보도에 의하면 정부는 대통령의 질책에 따라 지난 9월 감기약과 진통해열제 및 소화제 같은 약품의 슈퍼판매를 허용하는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6만여명 약사의 반대에 부딪쳐 여야합의로 이번 국회에서는 처리하지 않기로 했다고 합니다. 국민의 70∼80% 이상이 지지하는 이 정책을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눈치를 보고 있습니다. 왜 국회의원들은 일반유권자보다 수적(數的)으로 열세인 약사편에 선 것일까요? 겉으로는 약사가 하는 말(의약품 오남용의 부작용)을 앵무새처럼 반복하지만 실제로는 동네약국은 주민들이 모이는 장소라 선거 때 여론을 주도하는 곳이라는 게 그 이유라고 합니다. 이런 국회와 국회의원이 과연 필요할까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