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북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소재 신시광장의 새만금방조제준공기념탑은 세계 최대의 방조제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새만금방조제의 준공을 기념하는 탑입니다. 부안과 김제 및 군산에 걸쳐있는 새만금은 우리나라 최대 간척공사로 서해안 곡창지대인 만경평야와 김제평야를 합친 만큼의 면적이 새롭게 생긴다고 하여 만경평야의 “만”자와 김제평야의 “금(金)”자를 따서 부르게 되었습니다.
새만금방조제는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서 북쪽으로 군산시 옥도면의 가력도, 신시도, 야미도, 비응도까지 잇는 세계 최장 33.9km의 방조제로 그 안의 바다를 육지로 만들어 새로 생겨날 국토는 여의도의 140배에 달합니다. 이 사업의 위치는 전북 군산시, 김제군 및 부안군 공유수면 일원으로 방조제 축조로 거대한 가용토지 및 담수호를 조성해 배후지역의 침수를 해소하고 산업, 관광레저, 환경, 과학 등 복합개발을 하는 대규모 국책사업입니다.
새만금 외곽방조제는 2조 9,49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1991-2010기간 중 준공했는데 이곳 신시광장의 준공탑은 이를 기념하기 위한 것입니다. 준공기념탑이 있는 신시도는 선유도와 함께 고군산군도에 포함된 섬인데 신시광장은 신시도항 남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신시광장 주차장에 들어서면 기념탑이 우뚝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기념탑에는 전면에 이를 알리는 글씨가 있기 마련인데 글씨도 없고 또 기념탑 자체에 대한 안내문이 없어 기념탑의 조형물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다만 뒤쪽에는 사업개요와 추진경위 등이 석판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기념탑 주위에는 군산포토관광투어의 포토존을 알리는 안내판이 보이고, 새만금글씨(ㅅㅁㄱ)로 사각액자틀을 만든 게 이채롭습니다. 이곳도 역시 포토존입니다. 광장남쪽에는 신시배수갑문(신시대교)이 있고 광장서쪽에는 77번 국도가 통과하는 신시터널이 보입니다.
광장에서 뒤돌아보면 신시도 월영봉(198m)의 암봉이 삼각봉의 모습을 하고 있네요. 필자는 지금으로부터 12년 전 이곳에 와서 월영봉과 대각산(172m)을 오른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오늘은 서해랑길 부안 48코스(변산 사랑의 낙조공원-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를 답사한 후 산악회의 배려로 이곳을 들리게 되어 매우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국내여행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선 구절리역-정선레일바이크 출발역 (37) | 2024.04.19 |
---|---|
정선 아우라지-정선아리랑 발상지 (67) | 2024.04.17 |
정선관광명소-아우라지역 어름치 플레이스 (38) | 2024.04.12 |
부천8경-부천시민이 직접 뽑은 부천 명소 (38) | 2024.04.08 |
부안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지구 살리기 프로젝트 (38) | 2024.04.05 |
부천 원미산 진달래축제-지하철로 가는 명소 (39) | 2024.04.02 |
부안 적벽강-채석강과 함께 변산팔경의 명소 (35) | 2024.03.29 |
부안 줄포만 노을빛정원(구 줄포만생태갯벌공원) (37) | 2024.03.27 |
부안 사랑의 낙조공원-사랑을 약속하는 일몰명소 (30) | 2024.03.22 |
정선아리랑시장-없는 것 빼고 다 있는 정선5일장 (29) |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