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청궁은 경복궁의 가장 북쪽에 위치한 향원정(香遠亭)의 뒤에 위치한 건물로
최근 복원되어 일반에게 개방되었다.
건청궁은 전통적인 궁궐의 침전양식과는 달리 양반가옥 살림집을 응용하여 지은 건물이기 때문에
전통 한옥의 옛 풍취를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곳이다.
고종은 1873년(고종10년)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간섭에서 벗어나
친정체제를 구축하면서 정치적 자립의 일환으로 건청궁을 세웠다.
건청궁은 왕비의 처소인 곤녕합(坤寧閤, 명성왕후의 거처),
왕의 처소인 장안당(長安堂, 고종의 거처), 서재인 관문각으로 이루어 져 있다.
건청궁은 명성왕후가 일본 낭인들에 의해 무참히 시해된 곳으로
비극적인 역사현장으로 남아 있는 곳이다.
1895년 을미사변 때 일본공사관직원, 일본군, 일본자객들이 건청궁에 난입해
곤녕합의 옥호루(玉壺樓)에서 명성왕후를 찔러 죽이고
그녀의 시신마저 청휘문을 통해 바로 옆에 있는
"녹산(鹿山)"에서 불에 태우는 만행을 저질렀다.
고종이 거처하던 장안당의 추수부용루에 올라서면
담 너머로 향원정이 눈에 들어온다.
담 안쪽으로는 평소 고종이 좋아했다던 감나무 한 그루가 자리를 지키고 있다.
건청궁은 고종황제의 어명으로 1887년 우리나라 최초로 전기가 가설된 곳이기도 하다.
당시 전기의 도입은 에디슨 전기회사를 통해 이루어 졌는데,
이는 일본과 중국을 제치고 동아시아의 최초였다.
그 당시 에디슨의 일기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었다고 한다.
"세상에, 동양의 신비한 왕궁에 내가 발명한 전등이 켜지다니 꿈만 같다."
건청궁 앞 향원정 연못가에는 "한국의 전기발상지"임을 알리는 표석이 설치되어있다.
☞ 건청궁에 대한 자료는 경복궁 안내설명서와
"공간에 서다(http://dncmconsultant.tistory.com/)를 참고하였다.
건청궁을 관람한 후엔 바로 옆에 있는 집옥재(集玉齋)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고종이 외국의 사신들을 접견하거나 서고로 사용되던 건축물이다.
'역사.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기념관의 6.25전쟁 50주년 기념조형물 (14) | 2009.06.05 |
---|---|
목판에 새긴 아름다운 서각예술작품 (11) | 2009.06.04 |
차분하게 진행된 산학연(産學硏) 가족음악회 (11) | 2009.06.03 |
역사 속 여성의 다양한 전통머리모양 (17) | 2009.06.03 |
보일 듯 말 듯 누드수묵화 전수경초대전 (10) | 2009.06.02 |
"심학산 돌곶이 꽃축제" 개막식 꽃퍼레이드 (15) | 2009.06.01 |
2009 한국공예 100인 초대전의 작품감상 (4) | 2009.05.30 |
귀신과 화마를 좇기 위한 궁궐의 잡상 (6) | 2009.05.29 |
자폐 청소년들의 그림 "소리 없는 울림전" (10) | 2009.05.17 |
지하철역에서 보는 한국전통서예대전 (9) | 2009.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