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박크기의 돌덩이에서부터 엄지손가락 만한 작은 돌멩이에 이르기까지 돌에 돌을 포개 얹어 크고 작은 외줄 돌탑을 80여 개 쌓아 만든 석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장관을 이루고 있는 곳이 바로 마이산 탑사(馬耳山塔寺)이다.


높이 15m, 둘레 20여m의 거대한 돌탑도 즐비하다. 접착제를 쓴 것도 아니고, 시멘트로 이어 굳힌 것도 아니며, 더더구나 홈을 파서 서로 끼워 맞춘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1백여 년의 풍상 속에 태풍과 회오리바람에도 끄덕 없이 견고하게 버티고 서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보기 드문 불가사의로 세인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이 신비로운 얘기는 1백여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이 탑을 쌓은 이갑룡 처사(본명 경의, 호 석정)는 1860년 임실군 둔남면 둔덕리에서 태어난 전주이씨 효령대군 16대 손이다. 수행을 위해 25세 때 마이산에 들어와 솔잎으로 생식을 하며 수도하던 중 신의 계시를 받는다. "억조창생 구제와 만민의 죄를 속죄하는 석탑을 쌓으라"는 것이었다.


이 처사는 임오군란이 일어나고 전봉준이 처형되는 등 시대적으로 뒤숭숭했던 어두운 세속을 한탄하며 백성을 구하겠다는 구국일념으로 기도로써 밤을 보내고 낮에는 탑을 쌓기 시작했다.
 

이 처사는 탑을 쌓기 위해 30여 년을 인근 30리 안팎에서 돌을 날라 기단부분을 쌓았고, 상단부분에 쓰인 돌은 각처의 명산에서 축지법을 사용하여 날라 왔다고 전해진다. 이렇게 모아온 돌로 팔진도법과 음양이치법에 따라 축조를 하고 상단부분은 기공법(氣功琺)을 이용하여 쌓았다.


위치와 모양이 제각기 음양오행의 이치에 따라 소우주를 형성하고, 우주의 순행원리를 담고 있다. 외줄탑 가운데 있는 중앙탑은 바람이 심하게 불면 흔들렸다가 다시 제자리에 멎는 신비한 탑이다. 돌에도 암수가 있어 암수의 조화를 이뤄 쌓은 것이기에 그렇다는 것이다.


오행을 뜻하는 오방탑(五方塔)의 호위를 받고 있는 돌탑의 우두머리 천지탑(天地塔)은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규모 또한 가장 큰 한 쌍의 탑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석탑들이 1백여 년의 풍상을 하나같이 지켜오고 있는 것은 정녕 부처님만이 아실 불가사의가 아닐 수 없다.》
(자료 : 마이산 탑사 홈페이지,
http://www.maisantapsa.co.kr/).


말의 두 귀를 닮았다고 하여 이름난 도립공원인 마이산! 마이산의 암마이봉 아래 위치한 불가사의한 탑사의 돌탑! 위의 글을 보면 돌탑에 관한 의문은 어느 정도 풀일 것입니다.


남부주차장에서 벚꽃터널을 지나 안으로 들어서면 암마이봉 바로 아래에 탑사가 있습니다. 흔히 있음직한 일주문도, 사천왕문도 없습니다. 오른쪽 사물각을 지나 안으로 들어서면 비로소 우측에 마이산 탑사를 알리는 표석이 세워져 있을 따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계절적으로 만물이 소생하기 이전이라 자연적인 분위기는 상당히 썰렁해 보이지만 탑사 골짜기는 수많은 사람들의 열기로 가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물각


일광탑과 월광탑 사이를 지나 위로 오르면 영신각입니다. 이럴 땐 은은한 불경소리가 들려오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이외에도 시끄러운 세속의 안내방송이 계속적으로 흘러나옵니다. 방송의 주 내용은 방문객은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돌탑에 기대지 말라는 것과 돌탑을 흔들어 보거나 만지지 말라는 것입니다. 방송은 대웅전 앞에서 마이크를 든 한 스님이 아래를 내려다보며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광탑과 월광탑 뒤로 보이는 영신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신각 내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엇이든지 만지기를 좋아합니다. 이른바 접촉의 문화입니다. 전시된 그림이나 꽃도 반드시 만져봐야 직성이 풀리는 국민성은 하루아침에 바꾸기 어렵지만 이제는 고칠 때가 되었습니다. 신기하게 하늘을 향해 일렬로 쌓은 돌탑을 튼튼한지 어떤지 흔들어 본다면 결국에는 무너지고 말 것입니다. 이를 감시하면서 확성기로 안내방송을 하는 것을 비난할 일은 아니지만 사찰과 문화유적지에서 이런 소리를 듣게 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아래쪽 중앙에는 탑을 축조한 이갑용 처사의 동상이 있는데, 삼불 미륵단과 섬진강의 발원지임을 알리는 샘물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갑룡 처사상 뒤로 보이는 대웅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불미륵단


미륵상을 지나 대웅전에 서서 뒤돌아보니 탑사의 전경이 잘 보입니다. 대웅전 뒤의 산신각을 둘러보고는 뒤로 계속하여 오릅니다. 5개의 돌탑이 나란히 있는 오방탑 뒤로 천지탑이 있습니다. 천지탑은 탑사의 탑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또 가장 위쪽에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륵상과 대웅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웅전에서 뒤돌아본 모습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신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방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방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지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지탑


이 천지탑은 이갑룡 처사가 만 3년에 걸쳐 쌓았으며, 축지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보는 쪽에서 왼쪽은 음탑, 오른쪽은 양탑입니다. 이른바 음양의 조화를 이룬 탑이로군요.   

공사용 돌과 모래를 이용하여 시멘트를 반죽해 놓은 것 같은 암마위봉의 절벽 구멍에 벌집이 보입니다. 특히 천길 낭떠러지 위 바위구멍에 쌓아 놓은 돌탑은 그야말로 축지법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했을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암마이봉 바위벼랑의 벌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축지법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했을 암벽의 돌탑


탑들이 위치한 이곳 계곡에는 유난히 세찬 바람이 사시사철 불어온다고 합니다. 지형적으로 앞쪽이 넓고 뒤쪽이 좁은 계곡이어서 바람이 세차게 휘몰아쳐 오는 것이지요. 특히 여름철 태풍이 불어오면 옆 언덕의 나뭇가지가 부러지고 웬만한 나무는 뿌리째 뽑혀 나가지만, 이곳의 돌탑들은 조금씩 흔들리기만 할 뿐 결코 쓰러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아무런 접착물 도 없이 서로 맞닿아 있기만 한데도 이런 이유는 불가사의하다는 말 밖에는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갑룡 처사는 도를 닦는 틈틈이 먼 곳에서 돌을 날라 탑을 쌓았다고 합니다. 돌을 운반할 때는 호랑이가 함께 도왔다는 전설도 전해지는 곳, 백문이불여일견(百聞而不如一見)이니 시간이 나면 이 신비함을 체험해 보기 바랍니다. (2008. 4. 13).  

          ☞ 스크랩 안내 : 다음 블로그(http://blog.daum.net/penn157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