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북 진안군 백운면 소재 내동산(887m) 산행을 마치고 봉서마을로 하산했다. 덕운교 옆에는 오래된(130년 이상) 물레방아가 있다. "백운 물레방아"임을 알리는 안내문도 교량아래에 세워져 있어 길손은 찾기가 매우 힘든다.

그러나 덕운교를 지나다 보면 붉은 색 건물이 매우 인상적이어서 누구나 무슨 용도의 건물인지 호기심을 가질 만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 물레방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에 보인다. 당시 세검정에 구릉성 산지에서 떨어지는 낙차를 이용한 물레방아가 있었음을 적고 있다고 한다.

이 물레방아는 1850년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전면 3칸 측면 1칸으로 지었다. 물을 막는 보(湺)는 61m이며, 보에서 물레방아에 이르는 수로는 252m라고 한다. 이 인근엔 10여 개의 물레방아가 있었다고 전해진다.(현지 안내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침 문이 열려 있어 안으로 들어가 본다. 바로 입구에 소나무로 만든 물레가 보인다. 가까이에서 보아서인지 그 규모가 엄청나게 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물레방아 입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거대한 물레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옆으로 보이는 물레의 상단


물레의 대부분은 가려져 있어 그 일부분만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물레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을 수 없다. 바로 옆의 방아의 규모도 대단히 크다. 글쓴이는 시골에서 자라며 기계로 작동되는 정미소는 보았는데, 이 물레방아는 동력식 방아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내부가 매우 복잡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아기둥엔 빛 바랜 도정요율표와 양곡가공업 등록증이 붙어 있다. 요율표에는 백미 80kg 한 가마에 4kg을 현물로 받으며, 운반료는 별도로 받는다고 적혀 있다. 등록증 발행일자는 이외로 1995년 3월 27일로 되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이 물레방아는 사용한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전라북도에서는 민속자료 제36호로 지정했다. 물레방아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인데, 오래 전부터 가뭄으로 인하여 물을 대기가 힘들어 동력용방앗간에 그 자리를 내주고 말아 점점 잊혀져 가는 점이 안타까운 일이다. 끝.

         ☞ 스크랩 안내 : 다음 블로그(http://blog.daum.net/penn157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