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옛 한국은행 총재실

 

 

 

 

 

서울 중구 남대문로 3가 소재 한국은행 화폐박물관(한국은행 구본관 건물, 사적 280호)은 우리나라 화폐에 관한 모든 것과 세계 각국의 화폐를 볼 수 있는 박물관입니다. 박물관 전시실은 우리의 중앙은행, 화폐의 일생, 돈과 나라경제, 화폐광장, 상평통보갤러리, 금과 화폐실, 화폐기기실, 기증화폐실, 모형금고, 세계의 화폐실, 체험학습실, 기획전시실, 한은갤러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문객들은 자료안내실 및 뮤지엄샵과 카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옛 본관건물은 1907년 제일은행 경성지점으로 착공되어 1912년 조선은행 본점으로 준공 후 조선총독부 직속 금융기관으로서의 구실을 담당하였습니다. 광복이후 한국전쟁 때 폭격 등으로 내부가 거의 파괴되었으나 1958년 원형과 다르게 복구하였으며, 1987년 12월 이 건물 후면에 한국은행 신관(현 본관)이 준공되면서 원형으로 복원되어 2001년부터 화폐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시관 2층 <한은갤러리>는 한국은행 소장미술품 중 한국근현대미술의 명작을 엄선하여 상설전시회를 여는 곳입니다. 이곳 갤러리에서는 다채로운 동서양회화양식의 작품들을 통해 상호회화 양식을 비교하며 사유와 산책을 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작품에는 작가의 이름이 있었지만 이를 일일이 기록하지 못했음을 양해바랍니다.

 

 

 

 

 

 

 

 

 

 

 

 

 

 

 

 

 

 

 

 

 

 

 

전시관 중2층(M2F)에는 한국은행 옛총재실과 옛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실, 그리고 화폐박물관 건축실이 있습니다. <옛 총재실>은 한국은행 총재가 1987년 신축 본관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업무를 수행했던 집무실을 복원한 곳입니다. 증강 현실 기술이 적용된 앱을 통해 현 한국은행 총재와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옛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실>은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하고 의결하는 정책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의 모습을 재현한 공간입니다. 이곳은 1950년 6월 5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첫 회의 모습을 재현한 것입니다. 금통위는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한은총재(의장 겸임)와 부총재는 당연직 위원이며, 임명직 위원(5명)들은 각 추천기관(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대한상공회의소, 전국은행연합회)의 추천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화폐박물관 건축실>은 한국은행이 위치한 남대문로의 옛 모습을 지도와 모형으로 재현하였으며, 국가 중요문화재 사적 제280호인 화폐박물관의 건축적 특징과 아름다움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행표

 

 

 

 

 

 

이곳 화폐박물관을 방문하였다면 꼭 들러야할 코너가 있습니다. 바로 2층 전시관 세계의 화폐전시실과 인접한 <나도 화폐 속 주인공!>코너입니다. 현행 우리 화폐에는 신사임당, 세종대왕, 율곡 이이, 퇴계 이황, 이순신 장군과 같은 훌륭한 업적을 남긴 분들이 등장합니다. 여기서는 현장 안내원이 방문자가 원하는 액면금액의 화폐에 방문자의 얼굴을 넣어 즉석에서 사진을 출력해 주기에 평생 간직할 기념물이 될 것입니다.

5만원권에 신사임당 대신 방문자의 얼굴이 들어간 기념사진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