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소재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이산가족의 망향의 한을 달래주고 통일교육의 체험 도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1992년 건립된 전망대입니다. 이 전망대는 서울의 젖줄인 한강과 북에서 흘러내리는 임진강이 합류하는 서부전선 최북단 휴전선에 위치하고 있어 날씨가 좋을 경우 북으로는 개성 송악산, 남으로는 서울의 63빌딩까지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시원하게 뚫린 자유로를 따라 동북방향으로는 임진각, 제3땅굴, 판문점과 연계되는 통일안보관광지입니다. 이곳은 강원도 고성의 통일전망타워와 함께 일반인에게 매우 잘 알려진 전망대입니다.
통일전망대 경내로 진입하면 종합안내소가 있고 그 옆에는 파주시와 통일동산관광특구 종합안내도가 있습니다. 주차장 끝 쪽 팔각정에는 통일기원북이 있는데 그 앞에는 6.25전쟁 전투현황을 소개하는 알림판에 세워져 있습니다. 축대 쪽에 세워진 조형물은 통일조국의 염원과 비상을 알리는 통일염원비입니다.
통일염원비 맞은편에는 오두산성(사적 351호)을 알리는 안내문이 있는데 오두산성은 오두산(119m) 정상을 둘러싼 길이 1,226m의 백제시대 산성입니다. 무지개색상의 의자(7개)를 지나면 실향민을 위한 망배단(望拜壇)이 있으며, 그 옆에는 고당 조만식(曺晩植, 1883-1950) 선생의 동상이 늠름합니다. 고당은 독립운동가 겸 정치가로 3․1운동 참가로 체포되어 평양 감옥에서 1년간 복역하였으며 1922년 조선물산 장려회 회장으로 국산품 장려운동 등 항일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광복 후에는 조선 민주당을 창당해 반공노선을 내세우며 반탁운동을 하다가 한국전쟁 때 평양 형무소에서 공산당에 의하여 살해된 애국자입니다.
통일전망대 앞에는 무지개빛깔의 7개 의자가 가지런히 놓여 있네요. 건물 안으로 진입합니다. 1층은 안내소 및 로비, 기획전시실, 상설전시실입니다. 기획전시실에는 전주영, 이준, 심수진 작가의 작품이 전시중이네요. 전주영 작가는 북한에서 보던 DMZ와 대한민국에서 보는 DMZ와의 묘한 공존을 그림으로 묘사했다고 합니다. 이준 작가는 인체의 일부분을 결합하여 하나의 인체를 만드는 과정을 형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했답니다. 심수진 작가는 산과 바다를 끼고 있는 고향의 아름다운 자연을 모티브로 작품을 구상했습니다.
상설전시실은 분단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현재의 우리를 짚어보고 통일의 미래를 제시하는 전시를 하고 있습니다. 통일전망대의 역사, 역대 대통령의 통일관련 친필휘호(단, 문재인 대통령의 경우 통일부에서 휘호를 요청하였지만 자료를 받지 못했다고 함), 남북관계사 등의 자료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1층 복도에는 통일교육주간 역대 슬로건이 진열되어 있습니다.
1층을 관람한 다음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4층 전망라운지로 갑니다. 옥상야외전망대에서는 망원경으로 북한지역을 관찰할 수 있으며, 토요일을 맞아 많이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왔습니다. 전망대에 서면 한강과 임진강, 조강, 임진강 건너의 관산반도까지 한눈에 바라볼 수 있으며 날이 좋으면 북쪽으로 송악산, 남쪽으로 서울의 롯데타워도 볼 수 있답니다. 다만 오늘은 날이 흐릿해 육안으로 봐서는 북한의 특정지역을 분간하기는 어렵군요.
계단을 이용해 3층으로 내려오면 전망실인데 강 건너로 바라보이는 북한지역의 지형, 주요시설, 주민생활 등에 대한 설명영상을 4개 국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시청할 수 있는 약 300석 규모의 좌석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특히 우리지역과 북한지역의 지형도를 마련해 이해의 편의를 도모했군요.
2층으로 내려오면 로비에는 통일피아노가 있습니다. 2015년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제작된 통일피아노는 분단의 상징인 DMZ 철조망을 피아노 현으로 사용했습니다. 전시실에는 그리운 내 고향을 주제로 실향민이 그린 북에 두고 온 고향 그림 5,000여 점이 전시되어 있으며, 극장에서는 북한 주민의 생활 및 통일교육과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고 있습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국내여행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 유기방 가옥과 천연기념물 비자나무 (19) | 2025.02.12 |
---|---|
서산 운산면 벽화거리-농촌마을의 소박한 정취 (16) | 2025.02.07 |
김포 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철새들의 보금자리 (14) | 2025.01.22 |
남양주 팔당호반 봉주르 고석용 작가의 설치미술 감상 (17) | 2025.01.16 |
안동 월영공원과 월영교 (15) | 2025.01.13 |
북한강철교 자전거길 걷기-양평에서 남양주로 (14) | 2025.01.10 |
남양주 다산길 1코스 “한강나루길”, 2코스 “다산길” (31) | 2025.01.03 |
서산버드랜드-천수만 철새 생태공원 (24) | 2025.01.02 |
김포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스타벅스입점 핫플레이스 (36) | 2024.12.27 |
국립밀양기상과학관-알쏭달쏭 어려운 날씨의 이해 (31)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