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남한산성 내에는
<남한산성 비석 숲(비석군)>이 있습니다.
남한산성 남문(지화문) 바로 인근의 삼거리 버스정류소에 다다르면
도로변에 "비석숲"이라는 표석이 서 있습니다.
조금 안으로 들러서면 도로 우측 아래에 비석이 보입니다.
버스정류소 인근 비석 숲 표석
비석 숲 전경
남한산성에는 18∼20세기 무렵 세워진 39기의 비석이 있는데,
그중 30기의 비석이 이곳에 모여 있습니다.
원래 이 자리에 있던 비석 19기와 남한산성 행궁 복원사업에 의해
이전시킨 11기를 한 곳에 모아 정비한 것입니다.
이곳의 비석은 역대 광주유수(廣州留守), 수어사(守禦使),
부윤(府尹), 군수(郡守)의 비석으로서
재직 시 선정을 베푼 이들에게 백성들이 그를 추념하여 세운 것으로,
이를 후대에 전승하기 위해 한곳으로 모은 것입니다.
비석 중에는 광주유수를 거쳐 대제학·이조판서·영의정을 지낸
조선후기의 문신 심상규(沈象奎, 1766-1838)의 비(碑)가 있다고 하는데,
어느 비석인지 확인하지는 못했습니다.
(2016. 6. 23)
반응형
'역사.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남 춘궁동 동사지 및 3층·5층 석탑 (20) | 2013.07.30 |
---|---|
남한산성 장대 중 현존하는 수어장대의 위용 (31) | 2013.07.23 |
경기도 문화재인 남한산성 연무관과 지수당 (30) | 2013.07.18 |
남한산성에서 가장 조망이 좋은 연주봉옹성 (28) | 2013.07.16 |
행궁 제도연구에 귀중한 남한산성 행궁 (29) | 2013.07.05 |
통일신라시대 조성된 청도 장연사지 삼층석탑 (24) | 2013.06.27 |
1천년 이상 견뎌온 방어산 마애약사삼존불 (23) | 2013.06.22 |
능침공간 관람대를 설치한 조선왕릉 헌인릉 (24) | 2013.06.07 |
2013 고양국제꽃박람회, 꽃잎으로 만든 예술작품(압화) (10) | 2013.06.02 |
능침공간이 개방된 조선왕릉 강릉 (24) | 201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