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로 지정된 고려초기의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서울 종로구 구기동 북한산(삼각산) 비봉능선의 사모바위 아래
자리잡은 대한불교 조계종 계열의 승가사는
신라 경덕왕 15년(756) 수태(秀台) 스님이 창건한 천년고찰입니다.
수태스님은 중국 당나라 고종 때 장안 천복사(薦福寺)에서
생불(生佛) 소리를 들었던 서역 출신 승가대사(僧伽大師)의 거룩한 행적을 듣고
그를 경모하는 뜻에서 절의 이름을 승가사라 하였답니다. 

 

 

 

 

 

예로부터 한양근교의 4대 명찰로 북쪽의 승가사, 서쪽의 진관사(삼각산),
남쪽의 삼막사(삼성산), 동쪽의 불암사(불암산)라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신라의 고찰로서 참선수도 도량으로 이름 높은 승가사는
고려시대부터 많은 시인 묵객이 승가사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를
절찬하는 시와 글을 남겨 놓은 절 집입니다. 

 

일주문에 삼각산 승가사라는 현판이 붙어 있어 필자도 이를 따랐지만
삼각산의 공식명칭은 북한산입니다.
 청운교 옆에는 사적비와 부도가 놓여 있네요.

승가사 일주문

 

 승가사 배치도


 

 사적비와 부도

 

 

 


가파른 돌계단을 오르면 민족통일 호국보탑이 자라 잡고 있습니다.
여기서 바라보는 북한산 비봉능선의 암봉이 절경입니다.

 가파른 돌계단

 

 민족통일 호국보탑

 

 

 

 

 

 

실제로 승가사의 전각은 더 높은 경사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계단을 오르면서 고개를 한참 뒤로 젖혀야 범종각을 볼 수 있을 정도입니다.
서래당이라는 현판이 붙은 전각은 종무소입니다. 

 올려다 본 범종각

 

 종무소인 서래당

 

 

 

 

경내로 들어서면 정면 중앙에는 대웅전이 있고
그 우측은 이름을 알 수 없는 전각이 있는 데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것으로 보아 스님들의 정진장소 같습니다.
대웅전 내부는 매우 화려하군요.

 

 

 대웅전 내부

 

 대웅전 맞은 편의 범종각

 

 일반인 출입금지 전각

 

 

 

 

대웅전 오른 편에는 영산전이 있는데,
영산전은 석가모니와 팔상탱화(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여덟 시기로 나누어
그린 탱화)를 봉안한 사찰의 중요한 전각입니다.
영산전 뒤쪽 벼랑에는 산신각이 있습니다.

 

 영산전 내부

 

 산신각

 

 산신각 내부

 

 

 

 

대웅전 좌측에는 명부전이 있는데,
명부전(시왕전 또는 지장전)은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염라대왕 등 시왕을 모셔 놓은 전각입니다.

 

 명부전 내부

 

 

 

 

명부전을 뒤로하고 돌계단을 오르면
 큰 바위 아래의 석굴에 약사전이 보입니다.


그런데 이 약사전을 무심코 그냥 지나 쳐서는 안됩니다.
왜냐하면 이 석굴 안에는 보물(제1000호)로 지정된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승가대사는 당시 중국에서
생불 소리를 들었던 고승인데 이분의 좌상을 모신 것입니다.
승가대사는 죽은 뒤 비를 내리고 홍수를 다스리며
병을 낫게 해주는 영험한 존재로 받아들여졌다고 하는데
그래서 약사전에 모신 듯 합니다.

 

석굴 안은 기도처인데 워낙 어두워 사진을 찍기가 어렵더군요.
이 좌상은 고려 중기에 유행한 승가대사의
신앙을 알려주는 거의 유일한 증거라고 합니다.

 

 

 

 

 

 

 

 

약사전 좌측 각로향 뒤쪽에 승가사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불상이 있는데 바로 보물(제215호)인 구기동 마애여래좌상입니다.


 100여 개의 계단을 올라야 만날 수 있는 이 불상은
 고려 초기인 10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불상 가운데 제작기법이나 규모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마애불에서 뒤돌아본 모습

 

 

 

 

 

☞ 글이 마음에 들면 아래 공감하트(♥)를 눌러 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