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동 소재 죽미령 평화공원은 6·25 발발 10일 만인 1950.7.5. 북한군과 유엔군 지상군(미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이 첫 교전으로 많은 희생을 치렀던 죽미령에 조성된 역사공원으로 6.25 전쟁 70주년인 2020년 개장했습니다.
이곳에는 1955년 미 제24사단에 의해 세워진 구 유엔군 초전기념비, 1982년 확장 개수된 신 유엔군 초전기념비, 2013년에 건립된 유엔군 초전기념관, 2020.7월에 개관한 스미스 평화관이 있으며, 전망대와 잔디마당 및 평화놀이터 등 방문객들이 6.25를 상기하면서 여가를 보낼 수 있도록 조성하였습니다.
이 평화공원은 “전쟁의 시작에서, 평화의 시작으로”를 기치로 유엔군 초전이 한반도 평화와 자유 수호의 첫 번째 역사였음을 가치 있게 재조명하는 한편, 감사와 추모를 넘어 평화적인 미래로 나아갈 때 희생의 가치가 더욱 빛날 것이라는 비전 아래 평화문화 플랫폼으로써 조성된 것입니다.
유엔군 초전기념관으로 입장하기 전에 먼저 죽미령 전투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
죽미령은 오산 북쪽 5km에 있는 조그마한 능선으로 당시에도 경부국도와 철도를 모두 내려다 볼 수 있는 중요한 방어기지였으며, 날씨가 화창하면 북쪽으로 10km 거리의 수원, 남쪽으로는 오산 끝까지 관측할 수 있어 지형적으로 적의 이동을 알아차리기 좋은 위치였습니다.
유엔군 초전기념관은 6.25전쟁에 참전한 UN군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면서, 평화를 위한 상호 이해와 협력의식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문화와 교육의 장소입니다. 현재 기념관이 위치하고 있는 죽미령은 UN군이 첫 전투를 벌인 격전지로 많은 수의 젊은이들의 희생으로 우리나라의 자유와 평화를 지켜냈던 장소입니다.
기념관 안으로 들어서면 먼저 한국 군사원조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결의문, 유엔의 한국전 참전교훈, 3년간의 유엔 주요참전 일지, 광복이후의 한반도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김종태의 6.25전쟁일기는 당시 19세였던 김종태가 자필로 작성한 18쪽 일기입니다. 일기에는 피난길 속에서 자신이 직접 목격한 전쟁의 침상과 고통이 적혀 있으며, 당시 사람들이 처음 접한 서양인(유엔군)에 대해 어떠한 인상을 받았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또한 6.25전쟁의 피해, 김일성과 스탈린 및 모택동의 남침 모의, 남북한 전권수립, 김일성이 스탈린에게 보낸 병력요청 편지 등의 자료도 있습니다.
유엔군 첫 전투의 시작인 죽미령 전투에서부터 그 이후의 전투상황, 당시 남북한 군사력 비교, 당시 전쟁과 관련된 각종 사진, 참전용사들의 사진, 당시 사용한 군수보급품 등의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죽미령 전투에서 희생된 스미스 부대원들을 추모하고 기념하기 위해 건립한 구(舊) 유엔군초전기념비(1955년 7월 건립) 기단부에는 기념비 건립계기를 적은 동판이 붙어 있었으나 이 동판은 누군가에 의해 도난당해 미국을 떠돌다 2014년 이곳 죽미령으로 되돌아 왔습니다. 이 동판은 1977년 유엔한국참전국협회장(지갑종)이 미국 하와이 소재 어느 골동품점에서 우연히 발견해 1978년 팀스프리트 훈련에 참가하는 미국 제25사단의 도움으로 국내로 반입되었는데, 2014년 오산시에 전달되어 여기에 전시하게 된 것입니다.
☞ 죽미령 평화공원 가는 길
수도권전철 1호선 세마역 2번 출구로 나오면 전혀 행인들이 다니지 않아 황당할 것입니다. 그러나 당황하지 말고 우측으로 가면서 오피스텔 가림막을 따라가면 육교가 나오는데 보도전용육교에 오르거나 육교 밑 좌측으로 가면서 세마지하보도 우측 계단을 올라 1번국도 횡단보도를 건너가면 오케이입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역사.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인 강화 교동도 교동향교 (31) | 2023.07.05 |
---|---|
청주 문의문화재단지 내 대청호 조각공원 (20) | 2023.07.03 |
청주 문의문화재단지-청주지역 전통문화의 재현 (27) | 2023.06.30 |
강화 교동도 화개정원 내 연산군 유배지 (31) | 2023.06.02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스미스 평화관 (23) | 2023.04.19 |
오산 죽미령 평화공원 야외전시장 둘러보기 (24) | 2023.03.20 |
서울 암사동 선사유적박물관-5,000년 전으로 시간여행 (29) | 2023.03.10 |
서울 암사동유적 선사체험마을-서울서 가장 오래된 마을 (29) | 2023.03.03 |
서울암사동 유적-복원움집 및 출토유물유구 보호각 (27) | 2023.03.01 |
고양 중남미문화원-조각공원과 마야벽화 (23)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