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릉시립박물관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소재 강릉 오죽헌(보물)은 조선 전기(15세기 중엽) 목조 건물로 단일 주거건축으로는 역사가 가장 오래된 고옥입니다. 오죽헌(烏竹軒)이라는 명칭은 뒤뜰에 검은 대나무가 자란 것을 계기로 붙었으며, 조선의 시인 겸 화가인 신사임당(1504-1551)의 친정집으로 이곳에서 조선의 유학자 겸 관료인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생가입니다.

 

오죽헌 안내도 및 강릉시립박물관 위치도(노랑 원)

 

 

 

 

 

 

이곳은 1975년 오죽헌 정화 사업으로 율곡의 영정을 모신 문성사를 비롯해 자경문, 율곡기념관 등을 신축하고 강릉시립박물관과 통합되어 1998년에 재개관하였으며 경내에는 강릉화폐전시관이 있습니다. 오죽헌 입구에는 “세계 최초 모자 화폐인물 탄생지”라는 조형물이 있어 방문객들은 기념사진을 촬영합니다.

오죽헌 입구

 

 

 

 

 

 

 

 

 

출입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관리사무소가 있네요. 경내는 잘 조성된 공원 같은 분위기인데 우측에 율곡선생의 동상과 친필휘호가 새겨진 석판이 있고 그 안쪽에는 “신사임당 초충도 화단”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중앙광장으로 진입해 좌측으로 가면 강릉시립박물관이 보입니다.

공원 같은 오죽헌 경내

 

율곡선생의 동상과 친필휘호

 

 

 

 

 

 

강릉시립박물관은 영동지방에서 출토된 각종 선사 역사유물과 도자기, 고문서, 전적, 서화류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불교유물을 포함하여 율곡 이이, 허난설헌, 허균, 심언광 등 강릉 관련 인물들의 유물과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으며, 강릉 경포대가 포함된 관동팔경 병풍과 금강산 관련 유물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구석기시대 유물로는 발한동 유적, 신석기시대의 유물로는 지경리 유적, 청동기시대 유물로는 방내리, 포남동 유적, 초기철기시대의 유물로는 강문동, 병산동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원삼국시대 유물로는 대규모 취락 유적지로서 원삼국시대의 주거양식뿐만 아니라 생활양식을 잘 보여주는 안인리 유적 출토물과 집자리가 복원 전시되어 있고, 고분유적으로는 신라시대의 고분인 초당동 유적이 모형으로 제작· 전시되어 있습니다.

 

 

 

 

 

 

 

 

 

 

 

 

 

 

불교유물로는 한송사지석불좌상이 전시되어 있고, 지석과 명기 등 묘지 부장품과 고려백자를 전시하고 있으며, 이들 도자기를 제작하는 과정을 재현한 디오라마도 볼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선비들의 사랑방에 있었던 물건들과 여인들이 사용하던 규방 물건들, 강릉 단오제 신들의 신상과 설화를 전시하여 우리 지역과 관련된 유물들을 골고루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별전시실에서는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공주, 명안”(기간 2024. 7. 4~9. 1)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명안공주는 조선 18대 왕인 현종과 명성왕후의 막내딸로 태어났는데 공주의 두 언니가 어린 나이에 사망하자 명안공주에 대한 부모와 오빠인 숙종(19대왕)의 사랑은 특별했답니다. 이번 전시는 명안공주를 향한 부모와 형제의 가족 이야기를 통해 우리들의 존재 가치를 생각해보고 문화유산 관리의 중요성 이해하기 위함입니다.

 

 

 

 

 

 

 

 

 

 

 

시립박물관 우측에는 강릉비석군이 있습니다. 이는 조선시대 강원도 관찰사, 강릉부사 등 관리의 선정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기념비를 모아 놓은 것입니다. 그간 관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것을 수차례 옮긴 후 1986년 현재 위치로 이전한 것입니다. 이곳에는 관찰사 비석 2기. 부사 비석 16기, 찰방 비석 1기, 관노 비석 1기 등 모두 20기의 비석이 있습니다.

 

 

 

 

 

 

 

이들 비석군 가운데 특이한 것은 관리가 아닌 관노 문리동의 행적을 기린 충노문리동행적비인데, 그는 임진왜란 중 강릉부사 이광준를 모시고 산골로 피신하여 양식을 구하지 못해 부사가 굶주릴 때 이삭을 주워 봉양하자 그의 행실을 갸륵하게 여겨 기념비를 세웠다고 합니다.

 

 

 

 

 

 

비석군 옆에는 강릉 병산동 고분과 주거지, 그리고 고인돌 하부구조 및 신라고분 유적이 있습니다. 강릉 병산동 고분은 강릉 공항대교 접속구간 공사 시 발굴된 고분을 복원한 것이며, 강릉 병산동 주거지는 위 공사 구간에서 발굴된 철기시대의 주거지를 복원한 것입니다. 고인돌 하부구조 및 신라고분 유적은 양양군 포월리 농공단지 조성 시 발굴한 청동기시대 고인돌과 신라시대 돌방무덤을 복원한 것입니다.

 

강릉 병산동 고분

 

 

 

강릉 병산동 주거지 유적

 

 

고인돌 하부구조 및 신라고분 유적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