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소재 강릉 오죽헌(보물)은 조선 전기(15세기 중엽) 목조 건물로 단일 주거건축으로는 역사가 가장 오래된 고옥입니다. 오죽헌(烏竹軒)이라는 명칭은 뒤뜰에 검은 대나무가 자란 것을 계기로 붙었으며, 조선의 시인 겸 화가인 신사임당(1504-1551)의 친정집으로 이곳에서 조선의 유학자 겸 관료인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생가입니다.

 

오죽헌 안내도 및 강릉화폐전시관 위치도(노랑 원)

 

 

 

이곳은 1975년 오죽헌 정화 사업으로 율곡의 영정을 모신 문성사를 비롯해 자경문, 율곡기념관 등을 신축하고 강릉시립박물관과 통합되어 1998년에 재개관하였으며 경내에는 강릉화폐전시관이 있습니다. 오죽헌 입구에는 “세계 최초 모자 화폐인물 탄생지”라는 조형물이 있어 방문객들은 기념사진을 촬영합니다.

오죽헌 입구

 

 

 

 

 

 

 

 

 

출입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관리사무소가 있네요. 경내는 잘 조성된 공원 같은 분위기인데 우측에 율곡선생의 동상과 친필휘호가 새겨진 석판이 있고 그 안쪽에는 “신사임당 초충도 화단”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중앙광장으로 진입해 좌측으로 가면 강릉시립박물관이 보이는데 여기서 우측으로 북쪽을 향해 가면 길목에 신사임당 동상이 있습니다.

공원 같은 오죽헌 경내

 

율곡선생의 동상과 친필휘호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은 조선전기 “자리도”, “초충도”, “노안도” 등의 작품을 그린 서화가입니다. 그는 율곡 이이의 어머니로 시화에 능한 예술가로서 생동하는 듯한 섬세한 사실화, 고상한 정신·기백을 드러내는 글씨에 대한 재주가 매우 뛰어 났습니다. 그는 유교적 여성상에 만족하지 않고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삶을 개척한 여성입니다. 신사임당은 5만원권의 인물로 발탁된 명사이기에 화폐박물관 앞에 그의 동상이 세워진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신사임당 동상 바로 뒤쪽에 있는 강릉화폐전시관은 세계 최초 모자 화폐 탄생을 기념하여 기존의 향토민속관 건물을 새로 단장하고 2023년에 개관한 전시관입니다. 이곳은 세계 유일의 모자 화폐 인물(5만원권 지폐 인물인 신사임당, 5천원권 지폐 인물인 율곡 이이 선생)을 배출한 강릉의 문화적 위상을 제고하고, 화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추진된 복합문화공간입니다. 전시관 내부에는 고려시대부터 한국은행 설립 이후까지의 실물화폐와 기념주화가 전시됐고 오만원권과 오천원권의 화폐 도안을 그린 이종상 화백의 율곡 이이와 신사임당의 초상화가 걸려있으며 세계의 화폐 속 인물들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강릉화폐전시관

 

 

 

 

 

“강릉, 화폐 도시로서의 역사를 품다”는 본격적인 관람에 앞서 전시관 전체의 주제를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강릉이 배출한 위인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에 관련된 탄생 설화와 관련 일화, 화폐주조의 역사와 기술, 화폐의 역할과 가치 등을 생각하게 만드는 영상을 오토마타 모형과 연동하여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화폐 탄생 이전 물물교환을 하던 시대에서부터 화폐가 발행되기 시작한 고려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천여 년이 넘는 화폐의 역사를 유물과 디오라마 모형, 영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관람객이 직접 화폐를 만들어보는 코너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화폐 통용 이전 실물교환”은 자급자족의 원시사회가 농경사회로 바뀌면서 잉여생산물이 발생하자 사람들은 서로 교환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물교환은 점점 조개껍데기, 소금, 곡물 등 물품화폐를 사용하는 시대로 흐릅니다. 철기 시대를 맞이하면서 물품화폐는 포전, 도전, 반량전 등 금속화폐로 발달했습니다. 곡물은 화폐가 발행되어서도 꾸준히 쓰인 물품화폐였습니다.

 

 

 

 

 

 

“시대별 화폐의 도안”은 고려시대에 등장한 주화 철전(동국통보)부터 1678년 상평통보, 개항기 및 일본 식민지 통치 시대의 화폐, 독립 이후 1950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은행이 설립한 화폐, 기념주화 등 다양한 유물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화폐에 들어가는 인물은 대부분 국가 발전에 크게 공헌하여 국민적 존경과 지지를 받았거나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인물입니다. 화폐 인물의 절반은 정치인이며, 그 뒤를 예술인이 차지합니다. 우리나라는 5만원권에는 신사임당 여사가, 5천원권에는 율곡 이이 선생의 영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세계화폐역사상 모자(母子)가 화폐인물로 선정된 것은 최초라고 합니다.

 

 

 

모자 화폐주인공의 대표영정

 

오죽헌 정문의 기념조형물

 

 

 

 

 

조선의 여행객 두 명이 한양의 한강 나루터에서 강릉 오죽헌까지 가려고 길을 나섰습니다. 물물교환을 이용한 여행객과 화폐를 이용한 여행객 중 어떤 사람이 더 편리하고 즐거운 여행을 했을까요? 각기 다른 교환 수단을 선택한 여행객의 여정을 비교하는 게임을 통해 화폐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기념주화는 국가적 행사 및 역사적 사건 등을 기념하고 홍보하기 위해 발행됩니다. 기획전시에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와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기념주화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기념주화 그리고 역대 동계올림픽대회의 기념주화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강릉화폐전시관 뒤쪽에는 굴산사지 당간지주 모형이 있는데요.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사찰 앞에 설치했던 건축물로 그 주변지역이 신성한 영역임을 표시하는 것으로 보통 돌로 만들지만 철·금동·나무로도 만듭니다. 굴산사지 당간지주(보물)는 높이 5.4m에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지주로서 양쪽의 지주를 각각 하나의 거대한 돌을 사용하여 조성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의 웅대한 조형미를 보여주는 걸작입니다.

 

 

 

 

 

 

 

또 강릉 진또배기와 장승도 세워져 있고 장독대도 놓여 있습니다. 장승은 통나무나 돌에 사람의 얼굴 모양을 새겨 마을입구나 길가에 세운 목상이나 석상을 가리키는 신목(神木)으로 마을의 수호신, 사찰이나 지역 간의 경계표(이정표) 등의 구실을 합니다. 진또배기는 TV조선의 미스터트롯에서 가수 이찬원이 불러 전국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솟대라고 부르는 마을입구의 민간신앙 대상물입니다.

 

 

목장승

 

 

 

 

 

☞ 강릉화폐전시관 본문의 설명문은 대부분 강릉화폐전시관 홈페이지(https://gn.go.kr/moneymuseum/kor/main/)를 인용한 것입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