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통한옥마을의 장독대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소재 무섬마을(국가민속문화재 제278호)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수도리(水島里)의 한국어 이름입니다. 이곳은 조선시대인 17세기(1666년) 박수(朴燧)가 병자호란 후 출사를 단념하고 충절과 은둔군자의 선비정신으로 만죽제를 건축해 살기 시작한 이후 박수의 증손녀와 결혼한 김대(金臺)가 1757년 들어와 살면서 만들어진 마을로 반남박씨 가문과 선성(예안)김씨 가문이 모여 사는 집성촌으로서 수백 년의 역사와 전통이 오롯이 남아 있는 유서 깊은 전통마을입니다.

 

무섬마을은 안동 하회마을, 예천 회룡포, 영월 선암마을 및 청령포와 같이 마을의 3면이 물로 둘러싸여 있는 대표적인 물돌이 마을인데요. 이곳은 내성천의 맑은 물이 태극모양으로 서로 안고 휘감아 돌아 산수의 경치가 절경을 이루며, 육지속의 섬마을로 전통을 고스란히 간직한 채 살아가고 있는 정겨운 마을입니다.

 

무섬마을은 조선시대에는 수많은 선비와 관리를 배출하면서 부자가 많이 살았던 마을이었고, 대한제국 시기에도 120여 가구에 500여 명의 주민이 살 정도로 매우 번성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34년 대홍수로 인해 마을의 절반정도가 사라지는 시련을 겪었지만 해방 전까지는 100여 가구가 사는 큰 마을이었습니다. 1960-70년대 많은 주민이 도시로 떠나가면서 마을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나 2000년대 전통마을로 지정되고 정비가 이루어져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현재 마을에는 만죽재와 해우당고택 등을 비롯하여 규모가 크고 격식을 갖춘 口자형 가옥, 까치구멍집, 겹집, 남부지방 민가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와 양식을 갖추고 있으며, 약 50여 가구에 5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습니다.(자료/현지 안내문에서 발췌인용)

 

 

 

 

 

 

무섬마을로 연결되는 유일한 교량인 수도교를 건너 좌측으로 갑니다. 길거리매점과 관광안내소를 뒤로하고 맨 좌측으로 가면 축대 위에 기와집 건물이 있는데 바로 아도서숙(亞島書塾)입니다. 이는 “아시아 반도 내 수도리의 서당”이라는 뜻으로 1928년 10월 해우당 김낙풍의 증손자 김희진이 마을 청년들과 뭉쳐 세운 마을공회당이자 양반·천민 구별 없이 모여 농촌 계몽활동과 민족교육을 한 교육기관이었습니다. 신간회 영주지회 등의 사무실로 지역 항일운동의 구심점이자 농민운동 및 반제운동의 거점으로 항일운동을 이어가던 중 1933년 7월 11일 새벽 일제는 경찰을 동원해 관련자를 체포하고 강제로 문을 닫았습니다. 현재의 건물은 마을사람들의 증언과 사료를 모나 철저한 고증을 거쳐 2015년 복원한 것입니다.

무섬마을로 이어지는 수도교

 

 

 

길거리매점

 

관광안내소

 

아도서숙

 

 

 

 

 

 

 

이제부터는 관광안내소 방향으로 가면서 마을을 차례로 답사하겠습니다. 무섬식당 옆에는 치류정(峙流亭) 현판이 있는 건물이 있지만 현지에 안내문이 없어 용도는 전혀 모르겠습니다. 무섬전통식품은 메주와 된장 및 청국장 판매소인데 마당의 장독대가 이를 증명합니다. 주실고택(김한직 가옥)과 한옥민박을 지나 안으로 들어섭니다. 안쪽에 있는 넓은 장독대는 어느 가옥에 속한 것인지 잘 모르겠지만 전통한옥과 잘 어울립니다. 장독대 안쪽에 백송당(김기현 가옥)이 있군요.

무섬식당

 

치류정

 

무섬전통식품

 

주실고택

 

한옥민박

 

규모가 큰 장독대

 

특이한 조각상

 

백송당(김기현 가옥)

 

 

 

 

 

 

수도교 쪽의 반듯한 가옥은 해우당(海愚堂) 고택입니다. 이 고택은 예안김씨 입향조 김대의 셋째 손자 김영각이 1830년에 건립하였고, 1879년(고종 16) 의금부도사를 지낸 해우당 김낙풍(金樂灃)이 중수한 살림집이며, 김낙풍의 증손자로 이 지역 항일운동 지도자였던 김화진의 생가로 경상북도 민속문화재(제92호)입니다. 특히 해우당 김낙풍은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조언자여서 현판글씨는 흥선대원군의 친필로 유명합니다.

 

 

 

 

 

 

 

 

 

 

주차장 뒤로 보이는 2층 누각은 청퇴정인데요. 이는 반남박씨 오헌공 추모회에서 세운 것입니다. 마을 도로변 돌담집은 황토민박집인데 많은 사람들이 쉬고 있는 모습입니다. 청록파시인인 조지훈의 처가인 김성규 가옥은 안내문만 카메라에 담았으며, 김뢰진 가옥(만운고택)은 문이 닫혀 있어 내부를 보지는 못했습니다. 어떤 자료에는 만운고택이 조치훈의 처가라고 하네요. 아무튼 만운고택은 조선 후기 살림집의 변화를 알려주는 귀중한 문화재입니다. 수춘재(김태길 가억)와 일계고택은 안내문이 없군요.(나머지 무섬마을에 대한 탐방후기는 제2부로 이어집니다.

 

 

 

 

 

황토민박

 

김성규 가옥 안내문

 

문이 닫힌 김뢰진 가옥

 

수춘재

 

일계고택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