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울 종로구 안국동 소재 서울공예박물관(2021. 7월 개관)은 서울시에서 강남으로 이전한 (구)풍문여고 건물 5개 동을 리모델링하여 건축한 한국 최초의 공립 공예박물관입니다. 이 박물관은 전통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대와 분야를 아우르는 2만여 점의 공예품과 공예자료를 수집.보유하고 있으며 안내동과 관리동, 전시동(3개) 및 교육동(어린이박물관 입주)이 있습니다.

 

 

 

 

 

 

 

서울공예박물관 터는 세종의 아들 영응대군의 집, 순종의 가례를 위해 건축된 안국동별궁 등 왕가의 저택으로 사용되거나 왕실 가례와 관련된 장소로서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며, 수공예품을 제작하여 관에 납품하던 조선의 장인 경공장(京工匠)들이 거주했던 종로구의 중심 지역입니다.

 

현재 전시1동 2층 상설전시실은 “장인, 세상을 이롭게 하다”, 전시2동 2층 상설전시실은 “자연에서 공예로”, 전시3동 2층 상설전시실은 “자수, 꽃이 피다” 3층 상설전시실은 “보자기, 일상을 감싸다”전시가 열리고 있으며, 교육동 2-3층은 어린이박물관(공예마을)이며, 교육동 옥상은 전망대입니다.

 

 

 

 

 

 

 

박물관 전시3동은 자수와 보자기관련 전시실인데요. 지난번 2층 상설전시실의 자수를 소개한데 이어 이번에는 3층 상설전시실의 보자기를 살펴보겠습니다. 3층 상설전시실의 주제는 “보자기, 일상을 감싸다”인데, 이곳에서는 보자기 할아버지로 불리는 허동화 선생의 생애도 만나게 됩니다.

전시3동

 

안내동(좌)과 전시3동(우)

 

 

 

 

 

 

 

 

I. 보자기, 일상을 감싸다.

 

보자기는 네모난 형태의 직물입니다. 그 직물을 사용해 우리는 물건을 보관하고 장식하며 간편하게 물건을 들고 다닐 수 있습니다. 틀이 있는 가방에 비해 공간활용이 편하고 재활용이 가능해 환경친화적입니다. 보자기는 웃음보나 보쌈처럼 이로부터 유래된 단어도 있어 예로부터 우리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전시는 궁중에서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화려한 문양이 있는 보자기에서부터 민간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보자기에 이르기까지 크기와 소재 및 구성방법 등의 차이와 보자기의 다양한 용도를 소개합니다.

 

 

 

 

 

 

 

 

▲ 한폭의 천

 

보자기를 사용했다는 기록은 오래전부터 있었는데 삼국유사에 의하면 육가야시조설화에도 붉은 보자기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에는 궁중에서 사용된 다양한 형태의 보자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오롯이 감싸

 

보자기의 형태는 대부분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입니다. 용도에 따라 크기나 소재 또는 끈의 개수 등을 결정했지요. 한 두 폭 보자기는 주로 예물이나 선물 등 작은 귀중품을 여러 번 겹쳐 싸는 데 사용되며, 세 폭 이상 큰 보자기는 옷이나 이불 및 가구를 싸기 위해 튼튼하게 만들었습니다.

 

 

 

 

 

 

 

▲ 수를 놓고

 

자수보자기는 다양한 색의 면 또는 견직물에 수를 놓아 만들었습니다. 보통 40cm의 바탕천에 나무와 새 등을 수놓은 것이 많습니다. 나무와 새는 아름다운 자연을 표현하면서 존엄한 생명 또는 하늘과 사람을 연결하는 매개체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 조각을 이어

 

바느질을 하고 남은 자투리 천으로 다양한 바느질 도구와 노리개 같은 장신구를 만들었는데요. 이는 남은 천을 알뜰히 이용하면서 정성을 모아 복을 구하려는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색동저고리나 깃과 섶을 조각천으로 꾸며 아이의 장수를 기원하였습니다.

 

 

 

 

 

 

 

 

 

 

 

▲ 나만의 조각보를 만들다

 

조각보는 천의 고유한 색과 질감 및 무늬를 활용하여 조형적으로 연결한 것입니다. 다양한 조각보를 감상한 후 나만의 조각보를 만들어 보는 체험공간입니다.

 

 

 

 

 

 

II. 보자기 할아버지 허동화의 생애

 

보자기 할아버지로 불리는 허동화(1926-2018)는 황해도 봉산출신으로 자수품과 보자기 수집에 일생을 바친 인물입니다. 그는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6.25전쟁에 참여한 공적으로 화랑무공훈장을 받았으며 1955년 치과의사인 박영숙과 결혼한 이후 사업가의 길을 걸으며 자수품을 수집했습니다. 그는 한국자수박물관을 설립한 박물관인, 자수품과 보자기 수집가, 전통자수를 널리 알린 연구자, 서울공예박물관에 5,000여점의 소장품을 기증한 주인공입니다. 전시3동의 로비와 3층 전시실에는 그를 기리는 안내문과 자료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허동화-박영숙 부부의 흉상

 

 

 

 

 

 

 

 

 

 

 

 

☞ 위 설명은 대부분 서울공예박물관 홈페이지 및 전시회자료를 발췌해 인용한 것입니다.

 

 

 

 

 

 

 

 

☞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하트(♡)를 눌러주세요!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pennpenn
,